메뉴 건너뛰기

[여는글]

a6de88

두 가지 생각

posted Aug 16,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는글.jpg

 

 

하나, 뭐라도 해 봐야 할 것 같다. 

 

지난해 여름이었던가?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던 중, '올해가 앞으로 이어질 여름 중 가장 시원한 해'로 기록될 것이라는 뉴스를 본 적이 있었다. 그리고 한 해가 지난 지금, 지난여름은 올해보다 시원했었다는 것을 피부로 느끼게 된다. 

생태 정의, 환경과 같은 주제는 사실 그랬다. 중요하다는 것은 너무 잘 알겠지만, 막상 나 하나가 뭘 할 수 있는 게 있을까 싶은....... 아니다. 사실은 실천해야 할 것, 관심 가져야 할 것이 무엇인지 대충은 알고 있었지만 좀 귀찮기도 했고, 또 나 혼자의 실천이 대세에 무슨 영향이 있을까 하는 부정적 생각이 크기도 했다. 

그런데 도무지 열기가 식지 않는 밤을 보내며, 점점 더 극단으로 치달아 가는 폭우를 경험하며 많이 늦었지만, 뭐라도 해봐야 할 것 같다는 마음을 먹게 되었다. 하여 지난해부터 수저와 텀블러, 손수건을 챙겨 다니기 시작했다. 이게 무슨 그리 큰 도움이 되겠느냐마는, 정말 뭐라도 해 봐야 할 것 같아서다. 

 

둘, 다양성의 공존을 향한 투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내란의 겨울을 지나며, 수많은 사람이 지켰던 광장....... 그 공간에서 펼쳐진 담론을 한마디로 정리해 볼 때 아마도 그건 '다양성'이 아닐까 싶다. 자신이 누구이며, 왜 광장을 찾았고, 이를 통해 무엇을 지키려 하는지를 자유롭고 다양하게 드러냈던 시간....... 

그런데 생각해보면 아직 내란 세력은 여전히 기세등등하고, 여기저기에서 삶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이어지는 투쟁은 기약 없는 날들을 보내고 있으며, 수많은 일터에서 여전히 노동자들이 간단한 안전대책이 없어 죽어간다. 

지난겨울, 광장에서 드러났던 그 수많은 존재들의 염원이 그저 또 다른 정당의 대통령을 선출하는 것으로 끝날 수 있을까? 이곳저곳의 하늘 감옥에서 투쟁 중인 노동자들, 성적 다양성을 말살하려는 시도 앞에서 고군분투 중인 성교육 현장의 사람들, 더이상 일하다 죽지 않는 사회를 만들고자 애써 외치는 이들의 싸움이 이어지는 한, 다양성의 공존을 향한 투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그 자리에 우리의 마음과 발걸음이 이어질 수 있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고상균-프로필.png

 


  1. 두 가지 생각

    하나, 뭐라도 해 봐야 할 것 같다. 지난해 여름이었던가?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던 중, '올해가 앞으로 이어질 여름 중 가장 시원한 해'로 기록될 것이라는 뉴스를 본 적이 있었다. 그리고 한 해가 지난 지금, 지난여름은 올해보다 시원했었다는 것...
    Date2025.08.16 Views23
    Read More
  2. 너의 목소리가 들려

    노래가 시대를 읽는 것일까? 시대가 노래를 찾아내는 것일까? 1997년에 발표한 델리스파이스의 '챠우챠우'라는 노래를 제목으로 기억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가 거의 노래의 전부라 그것을 제목으로 기억하는 이들이 더 ...
    Date2025.07.08 Views49
    Read More
  3. 내란 후 대통령 선거를 지나며

    2024년 12·3 윤석열의 친위쿠데타 내란은 이 땅의 민중에 의해 진압됐고, 넉 달 동안 여의도, 남태령, 한남동, 광화문으로 이어진 '빛의 혁명'에 의해 마침내 지난 4월 4일 헌법재판소에서 파면됐습니다. 그리고 이어진 6.3 대선에서 내란잔당...
    Date2025.06.11 Views62
    Read More
  4. 불, AI, 로봇에 대한 단상

    알고리즘으로 인해 자주 보게 되는 영상 중 AI에 관한 것이 있는데, 자주 등장하는 전문가가 젊은 시절 같은 업종에서 비슷한 생각과 실천을 하던 이이고, 신혼 초 옆 동 같은 호수에 살아서 음주 후 착각해 그 집의 초인종을 누르며 응답 없는 마눌을 초조하...
    Date2025.05.14 Views64
    Read More
  5. 414명 작가들의 한 줄 성명을 읽으며

    파면을 촉구하는 작가들의 한 줄 성명을 읽다가 문득 서글퍼졌다. 414명의 작가들이 자신의 이름을 걸고 한 줄 성명을 냈다. 그들은 저 한 줄의 문장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불면의 밤을 보냈을까. 때론 욕설을 뱉으며 어쩌면 술잔을 던지며 열패와 좌절과 ...
    Date2025.04.08 Views158
    Read More
  6. 봄바람이 다시 불어오길

    지난 1월 중순 내란 우두머리의 구속을 앞두고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는 연일 시위가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제가 탄 버스가 태극기+성조기 부대 앞을 지나가는데 대형 스피커로 귀에 익은 복음성가 선율이 들려오는 것이었습니다. "주 선한 능력으로 안으...
    Date2025.03.14 Views231
    Read More
  7. 2024년, 가장 뿌듯했던 것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작년 한 해는 사건사고가 많았던 해였다. 그중에는 살아가면서 경험한 가장 슬픈 일도 있었고, 잊지 못할 감동적이고 기쁘고 멋진 일도 여럿 있었다. 2024년이 시작할 때 나는 동네 독서모임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 모임에서 다양한 독서를 하게 ...
    Date2025.02.08 Views242
    Read More
  8. 아직 끝나지 않은 2024년

    12개월의 시간이 흐르면 일 년이 됩니다. 통상 12월이 되면 지난 11개월의 시간을 탈 없이 지낸 것을 감사하며 새로운 일은 가급적 시작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작년 12월은 전혀 예상하지 않은 비상계엄과 비행기 폭발이라는 엄청난 사건과 사고가 있...
    Date2025.01.13 Views235
    Read More
  9. 시기심과 파괴성

    J는 어느 날 상담에서 나에게는 절망을 딛고 설 수 있는 희망이 없었어요. 그것은 시기심 때문에 내 안에 좋은 대상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좋은 대상을 찾아서 온 세상을 헤매다가 좋은 대상을 만나면, 나보다 잘난 것을 보는 게 내가 갈기갈기 찢...
    Date2024.12.08 Views291
    Read More
  10. 생태문화사회를 향하여

    지금 기후위기가 점점 심각해지고 불평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왜 이런 시대가 되었을까? 우리 인간들의 이기적인 사고로 자연을 함부로 파괴하고 사치와 낭비의 생활방식과 무한경쟁의 정치경제사회시스템의 결과라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다중 위기를 극...
    Date2024.11.05 Views2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