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는글]

a6de88

너의 목소리가 들려

posted Jul 08,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광장의 노래.jpg

 

 

노래가 시대를 읽는 것일까? 시대가 노래를 찾아내는 것일까?

 

1997년에 발표한 델리스파이스의 '챠우챠우'라는 노래를 제목으로 기억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가 거의 노래의 전부라 그것을 제목으로 기억하는 이들이 더 많을 것이다.

 

가사의 전부를 첨부해도 한 줄이면 가능하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 아무리 애를 쓰고 막아 보려 하는데도 아무리 애를 쓰고 막아 보려 하는데도 너의 목소리가 들려

 

세기말이 다가오는 시점에 록 음악에 큰 변화가 생겼다. 정돈된 기타 연주와 보컬의 고음을 내세운 LA메탈, 반복되는 저음의 리프와 목을 긁는 듯한 노래의 트래시메탈이 양분하던 시대에 3~4개의 코드만 대충 코드만 치고 알아듣기 어려운 가사로 노래하는 록 음악이 등장한 것이다. 마치 '우리는 훈련되지 않을 거야'라는 메시지를 주는 듯한 음악.

 

그 음악을 [얼터네이티브락]이라는 장르로 구분하였다.

대표적으로는 너바나, R.E.M, 펄잼 등이 있다.

 

그 영향이 우리나라에도 닿았고 신촌의 락클럽에도 다양함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래서 델리스파이스의 이 노래도 락음악의 반열에 오른 것이다.

 

감성의 커튼을 젖히고 하나씩 뜯어보면 연주나 노래 사운드 등 여러모로 갖춘 것이 없는 음악이지만 그 시대를 하나의 노래로 소개하자면 이 노래만큼 좋은 게 있을까 싶다.

 

2016년 즈음부터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라는 노래가 민중가요처럼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7년 발매된 노래니까 그리 젊은 노래도 아니다. 그런데 왜 그 노래가 2030 세대에 의해 운동의 노래로 소환되었을까?

 

노래는 그 시대를 관통하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노래가 억지로 그것을 담으려 하지 않아도 그 시대를 사는 이들에 의해 그렇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만난 세계' 역시 시대에 대한 저항을 담고 있기보다는 희망적인 가사와 따라 부르기 좋은 멜로디, 무엇보다 2030 여성 세대들의 노래라는 점에서 민중가요가 되기에 충분한 요소가 있지 않았나 싶다. 전투적이고 공감되지 않는 멜로디와 리듬의 민중가요의 틀에 들어가고 싶지 않은 것이었다.

 

33세까지 듣던 음악을 평생 듣게 된다는 '33세 법칙'이라는 말이 있다.

그들도 신곡을 듣지만 신곡도 33세 전의 감성이 건드려져야 듣게 되는 것이다.

 

1997년, 세기말이 다가오고 경제 상황이 가혹해지던 그 시대.

[얼터네이티브락]은 시대를 거부하고 있었다.

 

2007년을 소녀 소년으로 보낸 세대가 촛불에 그 노래를 소환한 이유도 그와 같은 맥락이 아닐까 싶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

 

몽환적인 사운드에 의미 없이 맴도는 가사의 그 노래로 새로운 시대를 열고자 했던 세대들은 지금 꼰대 소리를 듣고 있다.

 

노래가 가진 감성의 커튼을 이미 젖혀 버렸기에.

이종민-프로필.png

 

 


  1. 너의 목소리가 들려

    노래가 시대를 읽는 것일까? 시대가 노래를 찾아내는 것일까? 1997년에 발표한 델리스파이스의 '챠우챠우'라는 노래를 제목으로 기억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가 거의 노래의 전부라 그것을 제목으로 기억하는 이들이 더 ...
    Date2025.07.08 Views20
    Read More
  2. 내란 후 대통령 선거를 지나며

    2024년 12·3 윤석열의 친위쿠데타 내란은 이 땅의 민중에 의해 진압됐고, 넉 달 동안 여의도, 남태령, 한남동, 광화문으로 이어진 '빛의 혁명'에 의해 마침내 지난 4월 4일 헌법재판소에서 파면됐습니다. 그리고 이어진 6.3 대선에서 내란잔당...
    Date2025.06.11 Views47
    Read More
  3. 불, AI, 로봇에 대한 단상

    알고리즘으로 인해 자주 보게 되는 영상 중 AI에 관한 것이 있는데, 자주 등장하는 전문가가 젊은 시절 같은 업종에서 비슷한 생각과 실천을 하던 이이고, 신혼 초 옆 동 같은 호수에 살아서 음주 후 착각해 그 집의 초인종을 누르며 응답 없는 마눌을 초조하...
    Date2025.05.14 Views56
    Read More
  4. 414명 작가들의 한 줄 성명을 읽으며

    파면을 촉구하는 작가들의 한 줄 성명을 읽다가 문득 서글퍼졌다. 414명의 작가들이 자신의 이름을 걸고 한 줄 성명을 냈다. 그들은 저 한 줄의 문장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불면의 밤을 보냈을까. 때론 욕설을 뱉으며 어쩌면 술잔을 던지며 열패와 좌절과 ...
    Date2025.04.08 Views137
    Read More
  5. 봄바람이 다시 불어오길

    지난 1월 중순 내란 우두머리의 구속을 앞두고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는 연일 시위가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제가 탄 버스가 태극기+성조기 부대 앞을 지나가는데 대형 스피커로 귀에 익은 복음성가 선율이 들려오는 것이었습니다. "주 선한 능력으로 안으...
    Date2025.03.14 Views218
    Read More
  6. 2024년, 가장 뿌듯했던 것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작년 한 해는 사건사고가 많았던 해였다. 그중에는 살아가면서 경험한 가장 슬픈 일도 있었고, 잊지 못할 감동적이고 기쁘고 멋진 일도 여럿 있었다. 2024년이 시작할 때 나는 동네 독서모임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 모임에서 다양한 독서를 하게 ...
    Date2025.02.08 Views229
    Read More
  7. 아직 끝나지 않은 2024년

    12개월의 시간이 흐르면 일 년이 됩니다. 통상 12월이 되면 지난 11개월의 시간을 탈 없이 지낸 것을 감사하며 새로운 일은 가급적 시작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작년 12월은 전혀 예상하지 않은 비상계엄과 비행기 폭발이라는 엄청난 사건과 사고가 있...
    Date2025.01.13 Views223
    Read More
  8. 시기심과 파괴성

    J는 어느 날 상담에서 나에게는 절망을 딛고 설 수 있는 희망이 없었어요. 그것은 시기심 때문에 내 안에 좋은 대상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좋은 대상을 찾아서 온 세상을 헤매다가 좋은 대상을 만나면, 나보다 잘난 것을 보는 게 내가 갈기갈기 찢...
    Date2024.12.08 Views274
    Read More
  9. 생태문화사회를 향하여

    지금 기후위기가 점점 심각해지고 불평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왜 이런 시대가 되었을까? 우리 인간들의 이기적인 사고로 자연을 함부로 파괴하고 사치와 낭비의 생활방식과 무한경쟁의 정치경제사회시스템의 결과라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다중 위기를 극...
    Date2024.11.05 Views241
    Read More
  10.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것

    노르웨이 뤼세 피오르에 있는 프레이케스톨렌(설교단 바위)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것 겨울은 봄바람이 세상에서 제일 무섭고요. 봄은 세상에서 매미 소리가 제일 무섭대요. 여름은 귀뚜라미 소리가 제일 무섭고요. 가을 햇살은 눈송이가 세상에서 제일 무섭대...
    Date2024.10.06 Views2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