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희헌의 인문의 종교]

d4d7d5

김희헌 인문(人紋)의 종교 11 - 진리와 조화

posted Dec 29, 2018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cover_compo.jpg

 

 

인간의 무늬인 종교성에 대한 성찰 11 - 진리와 조화

 



앙리 베르그송의 말대로 만일 세계가 ‘창조적 전진’을 하는 살아있는 세계라면, 이 변화무쌍한 세계에 대한 진리인식은 개방적 사고를 필요로 할 것이다. 근대과학이 오해했던 것처럼 단지 운동의 법칙을 파악했다고 하여 사태를 모두 이해했다고 할 수 없다. 사태는 반복(répétition)되는 듯하지만, 그 속에서 끊임없이 차이(différence)를 양산하기 때문에(들뢰즈), 차이에 대한 미적 감수성이 없는 진리인식은 늘 불완전하다. 창발적인(emergent) 새로움이 탄생하며 구성되어가는 세계는 특정한 해석학적 시야를 항상 뛰어넘는다. 따라서 해석 활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개방성을 자기 안에 심어놓아야 한다. 이 개방성은 타자에 대한 개방성을 의미한다.

진리담론에서 타자에 대한 개방성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우주 안에 존재하는 만물이 서로 연관을 맺고 존재하기 때문이다. 존재형성의 뿌리에는 타자와의 관계성이 있다. 따라서 자신을 열고 전체적 연관관계에 대한 조화로운 파악을 하는 것이 해석의 핵심과제이다. 다시 말해서, 세계를 인식하고 윤리적 실천을 하는데 있어서 진리인식은 조화의 감각 즉, 아름다움에 대한 미적 감수성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한 철학자는 이렇게 말한다.

“아름다움을 떠날 때 진리는 선도 악도 아니다. 예술이 지향하는 목적은 두 가지, 즉 진리와 아름다움이다. 예술의 완성은 진실한 아름다움(truthful beauty)이라고 하는 오직 하나의 목적만을 갖는다. 진리가 없는 경우라면 아름다움은 중후함을 결여한 저차원에 있게 된다. 아름다움이 없는 경우에 진리는 사소성으로 전락한다. 진리가 중요하게 되는 것은 바로 아름다움 때문이다.” (화이트헤드, 「관념의 모험」, 408)

이렇게 진리주장을 조화의 감각 위에 올려놓은 사상가 가운데 찰스 하트숀(1897-2000)이라는 신학자가 있다. 그는 지혜(wisdom)가 양극화된 극단에 깃들지 않고 역동적인 중심을 조화롭게 유지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중요한 것은 조화로운 진리 즉, ‘아름다움에 기초한 진리’이다.

 

 

도표수정.jpg

 

하트숀은 아름다움을 두 가지 차원에서 파악하고, 그 두 차원에서 ‘이중적인 중심’(double mean)을 지킬 때 조화로운 진리가 탄생한다고 말한다. 한편으로는 질서와 무질서 사이에서 역동적 중심을 분간하는 것이다. 여기서 질서란 ‘다양화되지 않은 통합’(undiversified unity)을 의미하며, 무질서란 ‘통합되지 않은 다양성’(ununified diversity)을 의미한다. 조화로운 진리는 통합성과 다양성을 함께 갖추고 있어야 한다. 어느 한쪽에 매몰될 경우, 사유는 절대주의(통합성의 경우)나 상대주의(다양성의 경우)로 흐르게 된다.

다른 한편에서는 강도(intensity)의 깊이에서 조화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 차원에서 조화와 부조화는 ‘심원한’(profound) 것과 ‘피상적인’(superficial) 것으로 갈린다. 다시 말해서, 심원한 조화를 이룬 웅대한 사유와 심원한 부조화를 이룬 비극적 사유가 있다면, 피상적인 조화에 그친 진부함(commonplace)과 피상적인 부조화에 얹힌 희극(comic)이 있다는 말이다.

하트숀에게 사유가 조화롭다는 말은 이 두 차원의 역동적 중용(moderation)을 유지한다는 말이다. 그것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이 그림은 미학적 아름다움을 두 차원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수직적으로는 조화/질서를 표현하고 있으며, 수평적으로는 강도/깊이를 표현한다. 이 두 차원의 중앙에 아름다움이 위치한다.

하트숀은 이러한 조화의 감각이 미학적 음미에 그치지 않고 윤리학이나 철학과 같은 인식과 실천에서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형이상학이나 윤리학에서도 지혜는 다양한 극단들 가운데에서 중용을 이룬 사고이다. 예를 들어, 우주에 대한 설명은 기계론과 혼돈론, 결정론과 비결정론의 요소를 함께 가지면서도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말아야 한다. 철학은 유물론과 관념론, 합리론와 경험론이 말하는 각각의 지혜를 보유하면서도 동시에 그 극단성을 극복해야 한다. 건강한 종교적 사유는 무신론과 전지전능한 신에 관한 초월적 유신론을 동시에 극복하는 데서 형성되며, 인생은 비관이나 낙관의 극단에 치우치지 말아야 한다.

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조화로운 진리인식, 즉, 아름다움을 동반한 사유는 의무에 대한 관념까지 변화시킨다. 그것은 ‘아름다움의 의무’(obligation of beauty)를 느끼는 것이다. 이 느낌은 다양한 존재가 숨 쉬고 있는 이 세계에서 필요한 것은 생동감 있는 조화를 증진시키는 일이라는 감각에서 비롯된다. 이 감각이 형성될 때, 사회적 관계 안에서 모든 가치는 자기 자신만을 위해서 평가될 수 없고, 타자 그리고 전체를 위해서 고려되어야만 한다는 생각이 뒤따른다.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자기 땅과 일터에서 쫓겨난 사람들이 죽음으로써 이 세계에 메시지를 전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파괴된 관계의 악순환에서 생겨나는 생명의 탄식에 깊이 귀 기울이는 문화가 필요하다. 세계가 유지되어 온 것은 조화로운 생명의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것을 보는 것이 진리인식이고, 그 인식을 갖출 때 파괴된 현실에서 오는 직접적인 좌절 너머로 나아가는 힘을 얻게 될 것이다.

 

김희헌목사-프로필이미지.gif

 


  1. 김희헌 인문(人紋)의 종교 17 - 마르크스 동상 곁에서

    인간의 무늬인 종교성에 대한 성찰 17 : 마르크스 동상 곁에서 난생 처음 모스크바를 방문했다. 일행보다 늦게 출발한 이유로 유서 깊은 도시를 둘러볼 시간은 네댓 시간밖에 없었다. 공항 근처 호텔에 짐을 풀고 곧장 붉은 광장으로 향했다. 성 바질 성당과 ...
    Date2019.06.28 Views300
    Read More
  2. 김희헌 인문(人紋)의 종교 16 - 종교적 신념에 대하여

    (출처:불교방송BTN 유투브 영상캡쳐) 인간의 무늬인 종교성에 대한 성찰 16 : 종교적 신념에 대하여 지난 5월 12일 경북 영천의 한 사찰에서 보인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의 태도로 인해 종교 간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부처님 오신 날에 황 씨는 당 대표 ...
    Date2019.05.28 Views281
    Read More
  3. 김희헌 인문(人紋)의 종교 15 - 이웃종교에 대하여

    인간의 무늬인 종교성에 대한 성찰 15 : 이웃종교에 대하여 부처님 오신 날이 가까워지며 길거리에 연등이 걸리고 있다. 이즈음에는 오래 전 부목사로 일하던 수유동 지역 한 교회에서 겪은 경험이 껄끄럽게 떠오른다. 머지않은 곳에 위치한 화계사에서는 해...
    Date2019.04.28 Views239
    Read More
  4. 김희헌 인문(人紋)의 종교 14 - 계시의 하부구조

    인간의 무늬인 종교성에 대한 성찰 14 : 계시의 하부구조 분단과 전쟁의 상처를 안고 있는 이 땅의 봄은 아프게 다가온다. 해마다 봄은 제주의 4월을 찾더니 피 흘린 진실을 차츰 드러냈다. 그러는 동안, 억울한 죽음을 향한 정부의 사과가 있었고, 금년에는 ...
    Date2019.03.28 Views297
    Read More
  5. 김희헌 인문(人紋)의 종교 13 - 두 이야기의 합류

    인간의 무늬인 종교성에 대한 성찰 13 : 두 이야기의 합류 삼일운동 백주년을 맞아 기품 있는 옛 정신을 잇고자 하는 열망이 크다. 특히 기미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민족대표 가운데 절반을 차지한 개신교 진영은 과거의 정신적 지도력을 회복하고자 하는 고심...
    Date2019.02.27 Views298
    Read More
  6. 김희헌 인문(人紋)의 종교 12 - 범재신론(Panentheism)

    인간의 무늬인 종교성에 대한 성찰 12 : 범재신론 (Panentheism) 종교가 인간의 활동이라면 결국 그 진정한 힘은 사유의 능력에 있다. 종교의 흥망성쇠는 그 세계관에 좌우된다는 말이다. 19세기 후반 서구 문명이 무신론으로 물들어간 이유는 기독교 신학이 ...
    Date2019.01.28 Views421
    Read More
  7. 김희헌 인문(人紋)의 종교 11 - 진리와 조화

    인간의 무늬인 종교성에 대한 성찰 11 - 진리와 조화 앙리 베르그송의 말대로 만일 세계가 ‘창조적 전진’을 하는 살아있는 세계라면, 이 변화무쌍한 세계에 대한 진리인식은 개방적 사고를 필요로 할 것이다. 근대과학이 오해했던 것처럼 단지 운...
    Date2018.12.29 Views234
    Read More
  8. 김희헌 인문(人紋)의 종교 10 - 평화를 향한 철학적 모험

    인간의 무늬인 종교성에 대한 성찰 10 - 평화를 향한 철학적 모험 새로운 사상이 기존의 사유체계를 실제로 대체하기까지 오랜 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간혹 나타난 천재는 자기 시대를 외롭게 보내곤 한다. 알프레드 N. 화이트헤드(1861~1947)가 그 중 한 명이...
    Date2018.11.28 Views209
    Read More
  9. 김희헌 인문(人紋)의 종교 9 - 생태문명과 신

    인문(人紋)의 종교, 인간의 무늬인 종교성에 대한 성찰 9 생태문명과 신 지난 10월 11일 서울시가 국제 컨퍼런스를 열었다. ‘문명전환과 도시의 실험’이라는 주제를 가진 대회의 첫 강사는 93세의 신학자 존 캅(John B. Cobb, Jr.) 교수였다. 그...
    Date2018.10.29 Views221
    Read More
  10. 김희헌 인문(人紋)의 종교 8 - 근본주의 망령

    인문(人紋)의 종교- 인간의 무늬인 종교성에 대한 성찰 근본주의 망령 해마다 9월이면 개신교 교단들의 총회가 열린다. 안타깝게도 진취적 정신보다 퇴행적 정책을 도입하는 곳이 되고 있다. 신자유주의로 불리는 지난 한 세대를 지나오는 동안 한국교회가 더...
    Date2018.09.25 Views1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