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편집 중]

홍영진과 함께 보는 영화 -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의 쇼생크 탈출(The Shawshank Redemption, 1994)

posted Jun 30,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hawshank-redemption_resize.jpg

 

 

홍영진과 함께 보는 영화 -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의 "쇼생크 탈출(The Shawshank Redemption, 1994)"

 

이달의 영화는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의 “쇼생크 탈출(The Shawshank Redemption, 1994)"입니다.

원래는 다른 영화를 준비하려고 했으나 강남순 교수의 강좌에서 상식 이하의 기독교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쇼생크 탈출”을 언급하는 것을 들으면서, 이 영화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스티븐 킹의 1982년에 출판한 중편모음집 사계에 실린 중편소설 중 봄에 해당하는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 (부제: 희망의 봄)'을 영화로 만든 것입니다.
여름은 '우등생'으로 "죽음보다 무서운 비밀”이라는 제목으로, 가을은 '스탠 바이 미'로 같은 제목의 영화로 만들어졌으며, 겨울은 '호흡법'이며 이중 공포 장르인 '호흡법'만 영화로 제작되지 않았습니다. 원래는 봄, 여름과 가을, 겨울로 분권하여 출간되었는데, 국내에서는 '라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이라는 제목으로 봄, 여름이 한권으로, '스탠 바이 미'라는 제목으로 가을, 겨울이 한권으로 출간되었습니다.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은 원래 각본가로서 명성이 있는데 이 소설의 각본을 쓰면서 ‘리타 헤이워드’를 제목에서 제외하였는데, 그 이유는 사람들이 이 여배우의 전기로 오해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입니다. 소설 원문에 비교적 충실하게 각본을 썼지만 영화에 맞게 일부는 변경을 하였습니다. 길지 않은 분량이므로 책도 한번 읽어보면 좋습니다.

“쇼생크 탈출”이라는 한글제목은 영화 내용 중 일부만 대표하는 제목이라는 생각이 들고, 영화 전체를 생각해 보았을 때 적절한 제목으로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Redemption은 '구원'이라고 번역해야 맞으며, 영화 제목으로는 자연스럽지 않지만 '쇼생크에서의 구원'이 영어 제목의 원래 뜻에 더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일본 영화 제목은 더 이해가 되지 않는 “쇼생크의 하늘에"입니다.
책의 부제도 원문은 'Hope springs eternal.'이라서 '희망의 봄'보다는 '불굴의 희망'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이 영화는 교도소 속에서의 비인간적인 삶과 거기에 길들어져 있는 죄수들, 희망을 잃지 않고, 희망을 찾아 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영화이고, 목숨을 끊으려다 다시 살기로 마음을 먹게 하고, 이혼을 생각하다 이 영화를 보고 생각을 바꾸게 하는 그런 힘을 가진 영화입니다.

교도소가 이 영화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감독은 ‘촬영허가위원회’에 그 당시 사용하고 있지 않아 영화 촬영이 가능한 교도소가 있는지를 문의해서 오하이오와 내쉬빌 두 곳을 소개받게 되는데, 이 중 오하이오의 교도소를 선택하여 이 영화를 만들었고, 내쉬빌의 교도소에서는 “그린 마일 (The Green Mile, 1999)”을 촬영하였습니다.

많은 경우 이 영화에서 가장 기억이 남는 장면으로 뽑는 것이 앤디가 문을 잠그고 동료 죄수들에게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중 '저녁 산들바람이 부드럽게(Che soave zeffirett)'를 틀어주는 장면인데 저도 이 장면이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그 상황에서 가장 좋아하는 노래 중 하나가 스피커를 통하여 나올 때 감동은 이 영화를 생각하면 항상 떠올리게 되는 장면입니다.
'편지의 이중창'이라고도 하는데, 이 영화에서 나오는 소프라노 군둘라 야노비츠, 에디트 마티스가 부르는 이중창은 좋아해서 자주 듣는 곡입니다.

이 영화는 1995년 아카데미 작품상, 남우주연상을 포함하여 7개 부분에서 후보로 올랐지만 하나의 상도 타지 못했습니다.

지금은 많은 사이트에서 가장 좋아하는 영화로 선정되는 영화이지만 개봉 당시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큰 신문사들의 영화평도 좋지 않았고, 영화를 실제로 본 관객들의 평은 좋았지만, 보고나서 주변에 권하면, 교도소 영화에 대한 비 호감과 끌리지 않는 영화제목이 영화를 보는데 걸림돌이 되어 영화관으로 이끌지를 못했습니다. 그 후 TV 방영, 비디오와 DVD로 나오고 나서, 많은 사람들이 보게 되고, 좋아하게 된 영화입니다.

 

 

"영화를 보고 후기를 보내 주시는 조합원에게는 문화상품권을 보내 드립니다."
 

[보내실 곳 : gilmok@gilmok.org 길목극장 앞]


  1. 길목,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첫걸음을 내딛다

    Date2019.07.02 Byadmin Views7 file
    Read More
  2. [여는글] 사회적협동조합으로서 길목을 시작하며

    Date2019.07.02 Byadmin Views8 file
    Read More
  3. [인터뷰] 환하게 웃는 노동활동가, 힐링 미소의 심심활동가 - 조귀제

    Date2019.07.01 Byadmin Views19 file
    Read More
  4. 현우진의 홀로요리 10 - 음식에 대한 세 가지 성격

    Date2019.07.01 Byadmin Views38 file
    Read More
  5. 영언니의 깨는 일상 6 - 나의 하루

    Date2019.06.30 Byadmin Views47 file
    Read More
  6. 홍영진과 함께 보는 영화 -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의 쇼생크 탈출(The Shawshank Redemption, 1994)

    Date2019.06.30 Byadmin Views89 file
    Read More
  7. 아트 카메오 5 - <기생충>, 미니멀리즘 건축과 바스키아

    Date2019.06.30 Byadmin Views40 file
    Read More
  8. [뉴욕이야기] 홍혜영의 뉴욕 스토리 18 - Look for Magic moments, 롱아일랜드에서 프로방스를

    Date2019.06.28 Byadmin Views13 file
    Read More
  9. [연재] 김영국의 걸으며 생각하며 6 - 몽블랑 트래킹1

    Date2019.06.28 Byadmin Views10 file
    Read More
  10. [특집] 길목의 미래 방향과 제언

    Date2019.06.28 Byadmin Views3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