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마당]

a8b4e2

조합원의 책 소개 : 김상욱의 양자 공부

posted Sep 01,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캡처_resize.jpg

 

 

조합원의 책 소개 : 김상욱의 양자 공부 | 김상욱 지음 | 사이언스북스

완전히 새로운 현대 물리학 입문

 

 

학생들이 ‘포기’를 결심하게 되는 과목 중 수학이 으뜸이란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물리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그런 과목이 있다면 양자역학이 아닐까 싶다. 아무리 집중력을 끌어들여도 이해가 잘 안 되고, 이해했다고 하더라도 이걸 이해하는 게 무슨 소용이 있으랴 싶을 때가 부지기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을 추천하기가 여간 조심스럽지 않다. 그럼에도 이 책을 소개하는 이유는 이 책의 부제가 ‘완전히 새로운 현대 물리학 입문’이기 때문이다. 양자역학은 우리가 알고 있는 물리학(F=ma 대표되는 고전역학, 주로 거시세계를 다룬다.)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미시세계를 다룬다. 물리학이면 똑같은 물리학이지 미시세계와 거시세계에 적용되는 이론이 다르기라도 한 거란 말인가? 혹시 이런 궁금증이 생기면 당신은 1/4쯤 넘어온 것이다. 그리고 이 글을 쓰는 목적은 1/4을 1/2 이상으로 바꾸는 것이다.

양자역학은 원자 세계를 설명하는 과목이라 보면 된다. 세상의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니 물질의 근본적이고 존재적인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고전역학으로도 엄청나게 많은 현상이 설명되고 있는데 굳이 양자역학을 만들어낸 이유는 간단하다. 관찰은 되는데 기존의 이론으로는 설명이 안 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이중슬릿 실험이다. 전자 한 개를 스크린을 향해 쏘면서 그사이에 두 개의 틈(슬릿)이 있는 벽을 설치해 보았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전자는 그중 하나의 틈으로 지나가야 하는데 결과는 두 개의 틈을 동시에 지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건 말이 안 되는 것이다. 어떻게 하나의 물질이 동시에 두 군데 존재했던 것일까? 실험이 잘못되지 않았을까? 의심이 일어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실험 결과는 늘 같았다. 그렇다면 이제 왜 그런 결과가 나오는 것일까를 질문해야 한다. 이에 대한 설명법이 양자역학이다.

과학적인 설명 방법과 진실은 별개의 것이다. 사과가 땅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의심할 필요 없는 진실이다. 하지만 그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 자체를 진실이라고 말할 이유는 없다. 갈릴레이가 설득력 있는 설명법을 시도해 찾아냈으며, 뉴턴이 그걸 수식으로 만들어 냈고, 아인슈타인이 그 수식을 수정한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설명법이 변하고 있는 것 이외에도 과학적인 방법으로는 설명이 어려웠던 현상도 줄여나가고 있다. 과학은 번개가 신의 분노가 아니라 대기 중의 방전 현상이라는 설명법을 채택하고 있고, 절대다수가 이 방법을 받아들이고 있다. 과학은 설득력 있는 설명법 중 하나로 보는 것이 맞다는 것이다.

어렵지 않을까? 방송인 김제동의 추천사로 대답을 갈음한다. “김상욱쌤이 나에게 양자역학 책에 관한 추천사를 부탁했을 때 나는 웃었다. 말이 안 되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또 웃었다. 양자역학 자체가 나에게 말이 안 되기 때문이다. 재미있다. 맞다. 말이 되는 것은 웃기고 재미있지 않다. 말이 안 되는 것이 웃기고 재미있다. 그래서 이 책은 어렵지만 재미있다.(이하 생략)”. 도전해 보시라. 나와 다른 세상을 사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을 이해하려 다가가는 것만큼 내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없는 듯하다. 대신 그 사람이 좀 제정신이어야 한다는 전제는 꼭(!) 필요하지만.

 

하효열-프로필이미지.gif

 


  1. 박상현, 2024 - 친애하는 슐츠씨

    친애하는 슐츠씨 – 오래된 편견을 넘어선 사람들 박상현 저, 어크로스, 2024 이 책을 나의 첫 책으로 꼭 소개하고 싶었다. 오래된 편견을 넘어선 사람들이라는 부제가 붙은 <친애하는 슐츠씨>의 저자 박상현은 구독 기반 매체인 <오터레터>를 통해 문화...
    Date2024.08.04 Views264
    Read More
  2. 박충구, 2019 - 인간의 마지막 권리

    <인간의 마지막 권리> 박충구, 2019 도서출판 동녘 "인간의 생명은 유한하다." 이 말은 진리임에도 불구하고 별로 감명을 주지 못한다. 너무 평범하다. "나의 생명은 유한하다." 이 말은 잠깐 긴장시키지만, 그 긴장은 금방 해소된다. 나도 알고 있기 때문이...
    Date2024.07.08 Views203
    Read More
  3. 김재인, 2023 - AI 빅뱅

    AI 빅뱅 (생성 인공지능과 인문학 르네상스) 저자 김재인 | 동아시아 | 2023.05.23. 우리가 사는 세상을 2022년 11월 30일 Chat GPT의 등장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바라보는 사람들이 많다. 이후 1년 반 동안 쉼 없이 발전한 생성 인공지능들의 진화된 성능...
    Date2024.06.06 Views233
    Read More
  4. 조지 레이코프, 2015 -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조지 레이코프 (지은이) 유나영 (옮긴이) 와이즈베리 2015-04-01 원제 : Don't think of an elephant!: know your values and frame the debate : the essential guide for progressives (2014년) 한동안 정치에 거리를 두었었다. 그런데 외교와 국방에서...
    Date2024.05.07 Views209
    Read More
  5. 정희진, 2023 - 다시 페미니즘의 도전

    정치에 환멸이 느껴질 땐, 책을 읽어요! 정희진 저, 다시 페미니즘의 도전(2023) '공무원이 되려면 여자도 군대에 가야 한다.' 기계적 평등을 개혁이라 주창하는 정치집단이 내세운 이 총선공약은 현실정치에서 젠더 이슈가 흥행에 큰 도움이 되고 있...
    Date2024.03.12 Views215
    Read More
  6. 이춘, 2023 - 김명시: 묻힐 뻔한 여성 항일독립영웅

    이춘 지음 | 2023 | 산지니 '여장군' 호칭을 가진 유일한 독립운동가. 이 책을 여는 글은 이렇게 시작한다. 매우 인상적이다. 한국의 근현대사에서 '여장군'이라 불린 인물이 있었던가? 김명시(金命時)는 역사책을 즐겨 읽던 내가 한 번도 들...
    Date2024.02.06 Views380
    Read More
  7. 뤼카 샹셀, 2023 - 지속 불가능한 불평등

    지속 불가능한 불평등 저자 뤼카 샹셀 | 역자 이세진 | 니케북스 | 2023.4.1. 우리는 대체 어떤 세계에 살고 있나? 지금 우리를 둘러싼 삶의 여건으로서 경제적 불평등이 갈수록 심해지는 것은 각종 수치와 통계로도 증명된다. 전 인류를 생존의 시험대에 올...
    Date2024.01.08 Views218
    Read More
  8. 신기방기한 동네가게 안심협동조합, 2023 - 안심협동조합

    『신기방기한 동네가게 안심협동조합』 2023 | 안심협동조합 엮음 선의가 짙은 촘촘한 망 "대구 안심마을 네트워크"를 다룬 책이 드디어 출간되었다. 코로나 전인 2019년에 출판사로부터 본격적인 제안을 받은 것으로 아는데, 코로나를 거쳐 수많은 부끄러운 ...
    Date2023.12.04 Views257
    Read More
  9. 일곱째별의 탈핵 순례, 2023 - 일곱째별

    | 일곱째별의 탈핵 순례 | 일곱째별 지음 | 걷는사람 출판 르포 작가 일곱째별은 2017년에 '조영관 문학창작기금(르포 부문)'을 수상했다. 사실 나는 이 상의 무게를 전혀 모른다. 작가는 세월호 참사를 겪으면서 자신의 인생이 바뀌었다고 말하였다....
    Date2023.11.03 Views202
    Read More
  10. 제니퍼 다우드나 외 지음, 2018 - 크리스퍼가 온다

    크리스퍼가 온다 : 진화를 지배하는 놀라운 힘,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제니퍼 다우드나, 새뮤얼 스턴버그 지음 김보은 역 (2018, 프시케의 숲) 2018년 11월 28일, 세계 최초로 유전자가 편집된 쌍둥이 아기를 태어나게 했다는 중국 과학자의 충격적인 발표를 ...
    Date2023.10.04 Views25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