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마당]

a8b4e2

우치다 다쓰루 지음 - <무지의 즐거움>

posted Sep 18,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무지의 즐거움_2.jpg

무지의 즐거움

- 지적 흥분을 부르는 천진한 어른의 공부 이야기 검색

우치다 다쓰루 (지은이),박동섭 (옮긴이)

유유, 2024-11-04

 

 

'무지의 즐거움'을 접하게 된 것은 제목이 주는 궁금증에서였다.

나에게 모르는 것은 답답함과 같은 의미였기에 그동안 더 빨리 더 많이 알고자 노력했었는데, 무지가 즐겁다니….

낯선 호기심이 일었다. 책 두께의 만만함도 선택에 한몫했다.

하지만 얇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진도는 쉽게 나가지 않았다. 예상 밖의 묵직한 울림이 문장 하나하나를 계속 음미하며 들여다보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우치다 다쓰루는 일본의 합기도 무도자이자 프랑스 철학과 문학을 전공하고 레비나스를 오랜 세월 공부한 사람이다. 그러나 그는 본인을 레비나스 연구가라고 감히 말하지 않으며, 굳이 레비나스 전도사, 조술가, 설명가 혹은 제자라고 소개한다.

그가 자신을 전도사나 조술가라고 말하는 이유는, 본인의 주된 일이 '선현의 가르침을 한 사람이라도 더 많은 이에게 전하는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의 읽는 힘에 대한 정의가 인상적이다.

읽는 힘이란, '공중에 매달릴 수 있는 능력'(결정짓지 않고 기다릴 수 있는 능력, 영어로는 'pending')을 의미합니다. 어려운 말일 수 있지만, 이는 일의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은 개념을 포함하는 논고를 계속 읽을 수 있는 힘을 뜻하고, 다른 말로 '지적 폐활량'이라고 해도 좋겠습니다.

'다만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있는 상태도 똑같은 정도로 좋은 일입니다. 어쩌면 이해할 수 없는 것의 목록을 길게 만드는 것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의 목록을 길게 만드는 것 이상으로 인간의 지적 성장에 좋은 일인지 모릅니다.

 

우치다 다쓰루는 모르는 무지의 상태를 이겨내는 힘, 혹은 그것의 즐거움을 말한다. 그리고 그 힘은 삶이 주는 불확실성과 불안 속에서도 답이 아니라 더 깊은 질문을 찾게 만드는 힘이라고 말한다.

답이 아니라 더 깊은 질문을 갈구하는 것 – 어렵다…. 참 어려운 일이다.

진정한 '주체'의 모습은 이렇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그의 말에 뜬금없이 아버지에게 저런 사람들을 왜 받아주냐고 항의하던 딸에게 '사람이니까 그렇지"라고 답하던 '아버지의 해방일지' 장면이 떠올랐다. 왜일까?

계속 곱씹어 봐야겠다.

 

그는 배움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한다.

'배움'이란, 다른 이가 되어가는 과정입니다. 이제까지 존재했던 자신의 지성적인, 혹은 감정적인 '프레임워크'에 들어가지 않는 것을 수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 가지고 있는 프레임워크가 휜다든지 금이 갈 수도 있겠지요? 이때 대부분은 '프레임워크의 모양을 딴 걸로 해보든가, 아니면 사이즈를 큰 것으로 해보자' 함으로써 대처하기 마련입니다. 필사란 타인의 말을 자신의 어휘 보따리 속에 무리하게 집어넣는 일입니다. 텍스트를 받아들이기 위한 어휘 혹은 관념이 현재 자기가 가진 언어자원 가운데에는 마땅히 없으니만큼, 직접 그것을 만들어낼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작업을 통해 틀림없이 '머리가 굵어지는' 일이 일어납니다.

 

그는 이렇게 배움 그 자체에서 오는 지적인 흥분과 성장의 기쁨에 대해 말한다. 이 책은 저자가 우리 한국 독자를 생각하면서 쓴 첫 번째 책으로, 한국 사회에서 어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어떤 메시지가 필요할까 라는 고민으로 시작된 책이라고 한다.

우치다 다쓰루의 편안한 문체로 쓰인 친절한 글을 읽으며, '아, 이게 공부구나', '이런 것이 어른의 자세구나', '그렇네, 이렇게 생각하면 되겠네'라는 속말이 자꾸 삐져나왔다.

존재 자체를 풍요롭게 하는 공부, 즐거움을 위한 공부가 무엇인지 다시 사유해 본다.

 

저는 처음으로 레비나스가 쓴 철학서를 번역할 때 거기에 쓰여져 있던 걸, 거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중략) 레비나스가 뿌린 씨앗이 제 머릿속에서 싹튼 셈이지요. 애초에 계기는 다른 이로부터 찾아온 것이지만, 그것을 나 자신이 땅을 고르고 정성껏 가꾸었습니다. '배움'을 통해 다른 이가 된다는 것은 그러한 경험입니다.

배운다는 것은 '지식과 정보의 양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이제까지 구사해 왔던 '지식과 정보의 처리 시스템 자체를 바꾸는' 것입니다. '머리가 좋아진다'라는 것보다는 도리어 '머리가 굵어지는' '머리가 딴딴해지는(미더워지는)' 게 실제 감각에 가까운 표현이 될 겁니다.

 

우치다 다쓰루를 통해

신을 모르나 신을 앙망하는 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참 좋은 시간이었다.

염율희.gif

  1. 우치다 다쓰루 지음 - <무지의 즐거움>

    무지의 즐거움 - 지적 흥분을 부르는 천진한 어른의 공부 이야기 검색 우치다 다쓰루 (지은이),박동섭 (옮긴이) 유유, 2024-11-04 '무지의 즐거움'을 접하게 된 것은 제목이 주는 궁금증에서였다. 나에게 모르는 것은 답답함과 같은 의미였기에 그동...
    Date2025.09.18 Views41
    Read More
  2. 우치다 타츠루 외 - 한걸음 뒤의 세상

    한걸음 뒤의 세상 : '후퇴'에서 찾은 생존법 저자 우치다 타츠루 외 | 역자 박우현 | 이숲 | 2024.05.01 일본에게는 '과제선진국'이란 별명이 있다. 지금까지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문제들을 앞서 겪으면서 해결책을 선도적으로 마련...
    Date2025.08.16 Views65
    Read More
  3. 스가 아쓰코 저 - 트리에스테의 언덕길

    <트리에스테의 언덕길> 스가 아쓰코 저 뮤진트리, 2024 날이 덥고 습하다. 이제 정말 진정한 여름이구나 실감이 난다. 이번엔 무슨 책에 대해서 쓸까 고민하다가 이렇게 한증막 같은 더위에는 머리에도 마음에도 부담이 좀 덜한 책을 골라보자 싶었다. 자연스...
    Date2025.07.09 Views109
    Read More
  4. 이희수 - 인류본사: 오리엔트-중동의 눈으로 본...

    인류본사: 오리엔트-중동의 눈으로 본 1만 2,000년 인류사 이희수 지음 2022, ㈜ 휴머니스트출판그룹 책 제목이 거창하고 도발적이다. 인류본사(人類本史)라니. 인류역사의 본줄기를 밝히겠다는 발상인데, 지금까지 수많은 역사학자가 밝혀낸 역사는 다 무엇...
    Date2025.06.11 Views88
    Read More
  5. 루이스 하이드 - 선물(The Gift)

    선물(The Gift) : 대가 없이 주고받는 일은 왜 중요한가 저자 루이스 하이드 | 역자 전병근 | 도서출판 유유 | 2022.08.14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시장경제가 차지하는 영역은 갈수록 넓어지고 있다. 시장경제의 중심에 있는 '돈'은 정량화, 추...
    Date2025.05.14 Views118
    Read More
  6. 헤인 데 하스 - 이주, 국가를 선택하는 사람들

    이주, 국가를 선택하는 사람들 헤인 데 하스 저 세종, 2023 얼마 전만 해도 노동자를 타국으로 보내야 했던 우리나라가 그간 경제가 발전하고 노동력이 부족해짐에 따라 역으로 이주 노동자를 받아들이게 된 후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다. 나는 이로 인해 발생...
    Date2025.04.08 Views242
    Read More
  7. 자폐라는 새로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자폐라는 새로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우근이가 사라졌다』와 『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 『우근이가 사라졌다』 책 제목에서 느껴지듯이 중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들을 키우는 부모의 우당탕탕 좌충우돌 이야기이다. 그러나 그동안의 관련 책들...
    Date2025.03.15 Views211
    Read More
  8. 홍일립, 2021 - 국가의 딜레마

    홍일립 지음 국가의 딜레마: 국가는 정당한가 2021, 사무사책방 지난해 12·3 비상계엄사태 이후 한국사회가 몹시 어수선하다. 정치적으로 민주주의가 크게 후퇴하고, 경제적으로 한국의 국가 신인도가 툭 떨어졌다. 현직 대통령이 국회에서 탄핵된 데 ...
    Date2025.02.08 Views232
    Read More
  9. 조너선 하이트 - 불안 세대

    불안 세대(The Anxious Generation) 저자 조너선 하이트 | 역자 이충호 | 웅진지식하우스 | 2024.07.31 우리말로 '관심 경제' 또는 '주의력 경제'라고 번역되는 Attention economics는 인간의 주의력을 희소한 상품이자 자원으로 보고, 이 &#...
    Date2025.01.13 Views232
    Read More
  10. 양정무 지음, 2016 - 난생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1

    난생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1 양정무 지음, 2016, 사회평론 나이가 들수록 역사나 미술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건 비단 나만의 일은 아닐 것 같다. 어느 곳이든 유적지다 유물이다 해서 뚫어지게 쳐다봐도 그 역사를 모르면 머릿속에는 아무것도 ...
    Date2024.12.08 Views27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