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심심엔]

ddaeed

엄마

posted Sep 17,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심심엔-엄마.jpg

 

 

이번 심심엔 글은 엄마에 대해 쓰고 싶었지만, 막상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했다. 아마 엄마를 향한 내 마음이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주위에서 부모님을 돌보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면, 내 마음은 복잡했다.

 

아직 부모님이 곁에 계신다는 것이 부럽기도 하지만, 점점 쇠약해지고 건강이 나빠지시고 때론 치매로 고생하시는 부모님의 이야기를 들으면 그런 참혹한 모습을 보지 않아도 된다는 일종의 안도감 비슷한 마음도 올라온다. 그래도 압도적인 생각은 엄마가 살아계시면 얼마나 좋을까? 엄마가 옆에 있다면 내가 얼마나 엄마를 오해하고 왜곡했는지, 얼마나 나쁜 사람으로 만들었는지 참회할 시간이 빨리 찾아오지 않았을까? 두런두런 이야기하며 그때 못한 사랑 고백도 해볼 수 있지 않을까?

 

내가 스물세 살이 되던 해, 엄마는 쉰세 살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셨다. 사실 스물세 살은 이미 성인이라 엄마 없이도 살아갈 수 있는 나이였다. 하지만 엄마가 우리를 두고 떠난 것에 대해 슬픔과 그리움도 있었지만, 원망과 미움이 더 컸다. 특히 결혼할 때, 아이를 낳을 때 친정엄마의 빈자리는 상상 이상으로 크게 느껴졌다. 살아 보니 인생 어느 순간에도 엄마는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였다. 즐거울 때도, 슬플 때도, 특히 아플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은 엄마였다. 그러나 그리울수록 더 밉고, 더 원망스러웠다.

 

돌이켜보면 엄마는 나를 위해 많은 것을 해주셨다.

 

어렸을 때 몸이 약했던 나를 위해 늘 한약을 달여주셨고, 몸에 좋은 음식을 정성껏 해주셨다. 엄마는 지방에서 자란 나를 서울에 있는 대학에 보내고 싶으셔서, 고2 여름방학 때 대학 캠퍼스 두세 곳을 직접 보여주셨다. 대학 입학하고 기숙사에 들어가면서 이불이며, 잠옷이며 필요한 물건들을 알뜰히 챙겨주신 기억은 아직도 너무나 선명하다. 이렇게 좋은 기억과 좋은 경험이 분명하고 선명한데도, 난 그저 나에게 엄마가 없다는 상처에만 집착했다.

 

상담받으면서 엄마 이야기를 할 때면 어김없이 원망을 쏟아냈다. 그러면 내 상담자는 "그래도 엄마는 참 좋은 분인 것 같으세요"라고 하셨다. 그러면 나는 곧바로 "선생님은 우리 엄마를 몰라요"라며 엄마를 있는 그대로 보려 하지 않았다. 난 유학을 온 게 아니라 유배당한 거라며 억지를 부렸다. 집에서 정갈한 모습으로 계셨던 기억도 있지만, 어쩌다 한여름 아버지의 목이 늘어난 런닝을 입고 있던 그 모습만 붙잡고 있었다. 엄마에게도 약한 모습도 있고,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 좋은 분이라는 생각을 갖지 않으려고 했다. 아마 다시는 엄마를 볼 수 없다는 절망감이 두려워서, 오랫동안 일부러 그 마음을 외면한 것 같다. 그리움이 상처가 되고, 상처가 분노와 원망으로 뒤바뀌는 과정을 거듭하며 살아왔다.

 

그러나 상담을 받으면서 나는 엄마를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약점이나 아쉬운 부분만을 붙들고 늘어지느라, 좋은 내적 대상을 충분히 내면화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았다. 내가 붙들었던 엄마는 실제의 엄마가 아니라 내가 만들어 낸 왜곡된 엄마였다. 그 결과 나 역시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지 못했다. 자랑스럽지 않았다. 분명 나를 위해 헌신한 엄마를 기억하는 내가 있는데, 삐뚤어진 마음을 갖고 있는 내가 떳떳하지 않았다.

 

이제야 조금씩 보인다. 나를 위해 최선을 다했던 엄마, 약한 모습도 있었지만 동시에 좋은 모습을 간직한 엄마. 그런 엄마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한 채 살아온 시간이 길었지만, 이제는 달라지고 싶다. 엄마에게 좋은 모습도 있고 약한 모습, 아쉬운 모습을 함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면서 내 안에서 통합을 이루고 나 자신도 회복하고 통합하는 길로 가고 싶다.

이재경-프로필.jpg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엄마 file 이재경 2025.09.17 48
내면의 목소리 file 김지아 2025.08.16 79
사각지대 file 김경화 2025.07.09 77
내 마음을 모를 때 file 김지원 2025.05.14 134
바둑이 대화법 file 전정례 2025.04.08 239
다 잃어버리고, 더 잃어버린 마음 이야기 file 오자연 2025.03.14 224
영화 『존 오브 인터레스트』를 보고 - 우리 안의 '분열'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file 장은정 2025.02.08 238
신의 선물 file 최선영 2025.01.13 221
6월 24일이라는 시간에 사는 사람들 file 조귀제 2024.12.08 210
이태원참사 2주기에 부쳐 - 사회적 애도의 길, 진실만이 치유 file 오현정 2024.11.05 20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