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는글]

a6de88

414명 작가들의 한 줄 성명을 읽으며

posted Apr 08,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파면.jpg

 

 

파면을 촉구하는 작가들의 한 줄 성명을 읽다가 문득 서글퍼졌다.

414명의 작가들이 자신의 이름을 걸고 한 줄 성명을 냈다. 그들은 저 한 줄의 문장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불면의 밤을 보냈을까. 때론 욕설을 뱉으며 어쩌면 술잔을 던지며 열패와 좌절과 모멸의 시간을 보냈을까. 삶의 신비와 천체의 비밀을 시와 소설로 담금질할 시간을 빼앗긴 들과 같이 바라보아야 했던 작가들, 그들은 진주조개가 몸에 침투해 온 이물질을 뱉어내기 위해 진주를 빚어내듯, 정신을 함락한 저 무도함을 다시 문학으로 재탄생시켜야 하는 이 어처구니없는 아이러니를 다시 반복할 것이다. 유독 눈에 자주 띄는 어린이와 미래 세대를 염려하는 한 줄 성명을 읽다 어쩌면 지금 이 現在가 저 未來를 구원하기 위해 작가들은 또 그렇게 글을 지어갈 것이라는 생각이 들자 그저 겸손한 미소를 짓게 된다.

마음을 흔든 작가들의 성명을 몇 줄 옮겨 적는다. (2025. 3. 25.)

 

한 줄이 아니라

만 줄이라도 쓰겠어.

탄핵탄핵탄핵

파면파면파면.

그러나 이 한 줄로

족하지.

윤석열 내란

우두머리 즉각 파면.

- 성기완 시인

 

헌재야!

봄 온다.

꽃 핀다.

- 송종원 문학평론가

 

우리를

파괴하지

못한 것은

우리를

강하게

만든다.

- 신샛별 문학평론가

 

사실이어서는 안 되는 일들로

가득한 겨울을 보냈습니다.

못 쓴 소설 같은 현실 덕분에

제대로 된 소설을 쓰지 못했고,

거리로 내몰린 국민은 집단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온당히 마땅한 일로 채워진

봄을 맞고 싶습니다.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하고 민주주의를

지켜주십시오.

- 오정연 소설가

 

우리는 살아 있는

블랙박스다. 기억의

눈으로 민주주의를

지켜낼 것이다.

- 은유 르포 작가

 

국민을 향해 총을

든 대통령을

파면하지 않는다면

그건 방아쇠를

마저 당기라고

등을 떠미는 것이

아닌가? 헌재는

역사에 죄를 짓지

말라.

- 이후경 소설가

 

진짜 같은 소설을 쓰고 싶은

것이지, 소설 같은 일이 진짜

벌어지는 나라에서 살고 싶은

것이 아니다. 소설도 누가 이렇게

써봐라, 편집자가 가만두나. 벌써

교정, 교열했지.

- 임현 소설가

 

그 거리에, 그 빛에, 그 함성에,

그 노래에, 그 깃발에, 그

발걸음에, 그 트랙터에, 그

버스에, 그 유리창에, 그 고개에,

그 은박지에, 그 눈발에, 그

밤에, 그 바람에, 그 꽃망울에,

그 눈물에, 그 웃음에, 그

아침에, 그 하늘에… 우리는

쓴다, 그 너머를. 당신들은

주문하라, 파면을.

- 최규승 시인

김영국.png


  1. 414명 작가들의 한 줄 성명을 읽으며

    파면을 촉구하는 작가들의 한 줄 성명을 읽다가 문득 서글퍼졌다. 414명의 작가들이 자신의 이름을 걸고 한 줄 성명을 냈다. 그들은 저 한 줄의 문장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불면의 밤을 보냈을까. 때론 욕설을 뱉으며 어쩌면 술잔을 던지며 열패와 좌절과 ...
    Date2025.04.08 Views91
    Read More
  2. 봄바람이 다시 불어오길

    지난 1월 중순 내란 우두머리의 구속을 앞두고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는 연일 시위가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제가 탄 버스가 태극기+성조기 부대 앞을 지나가는데 대형 스피커로 귀에 익은 복음성가 선율이 들려오는 것이었습니다. "주 선한 능력으로 안으...
    Date2025.03.14 Views174
    Read More
  3. 2024년, 가장 뿌듯했던 것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작년 한 해는 사건사고가 많았던 해였다. 그중에는 살아가면서 경험한 가장 슬픈 일도 있었고, 잊지 못할 감동적이고 기쁘고 멋진 일도 여럿 있었다. 2024년이 시작할 때 나는 동네 독서모임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 모임에서 다양한 독서를 하게 ...
    Date2025.02.08 Views186
    Read More
  4. 아직 끝나지 않은 2024년

    12개월의 시간이 흐르면 일 년이 됩니다. 통상 12월이 되면 지난 11개월의 시간을 탈 없이 지낸 것을 감사하며 새로운 일은 가급적 시작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작년 12월은 전혀 예상하지 않은 비상계엄과 비행기 폭발이라는 엄청난 사건과 사고가 있...
    Date2025.01.13 Views190
    Read More
  5. 시기심과 파괴성

    J는 어느 날 상담에서 나에게는 절망을 딛고 설 수 있는 희망이 없었어요. 그것은 시기심 때문에 내 안에 좋은 대상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좋은 대상을 찾아서 온 세상을 헤매다가 좋은 대상을 만나면, 나보다 잘난 것을 보는 게 내가 갈기갈기 찢...
    Date2024.12.08 Views235
    Read More
  6. 생태문화사회를 향하여

    지금 기후위기가 점점 심각해지고 불평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왜 이런 시대가 되었을까? 우리 인간들의 이기적인 사고로 자연을 함부로 파괴하고 사치와 낭비의 생활방식과 무한경쟁의 정치경제사회시스템의 결과라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다중 위기를 극...
    Date2024.11.05 Views206
    Read More
  7.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것

    노르웨이 뤼세 피오르에 있는 프레이케스톨렌(설교단 바위)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것 겨울은 봄바람이 세상에서 제일 무섭고요. 봄은 세상에서 매미 소리가 제일 무섭대요. 여름은 귀뚜라미 소리가 제일 무섭고요. 가을 햇살은 눈송이가 세상에서 제일 무섭대...
    Date2024.10.06 Views209
    Read More
  8. 길목 청년 지원 사업 소개 및 연대 요청

    길목 청년 지원 사업을 소개 평화를 빕니다. 길목 청년 지원 사업 담당 김하나입니다. 길목 청년 지원 사업은 연초, 청년 세미나팀을 모집하는 것으로 한 해를 시작합니다. 청년 세미나팀 지원은 한 팀당 4인 이상의 청년들의 상호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고 ...
    Date2024.09.10 Views200
    Read More
  9. 안녕하세요 길목에서 일합니다

    더위가 무척 길게 이어집니다. 이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 그리고 조합원 여러분 모두, 마음과 몸에 건강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그간 제 이름으로 맥주 인문학 칼럼과 책 소개 글 같은 게 있었는데요, 길목에서 일하는 사람으로 그에 대한 인사를 드리게 된 점...
    Date2024.08.12 Views219
    Read More
  10. 인사이드 아웃

    나름 짧지 않은 인생을 살아왔다고 생각했는데 (아마도) 처음으로 한 영화의 1, 2편을 모두 보는 (지극히 개인적인)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그것도 애니메이션 영화를요. 주말에 일을 좀 해치워야 평일에 (마음의) 여유를 누릴 수 있어서 일에 집중...
    Date2024.07.08 Views2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