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는글]

a6de88

1/N?

posted Sep 02,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핵폐수.jpg

 

 

막연하게나마 50대에 은퇴하겠다는 생각을 했던 터라 교회에서 맡은 직책의 임기가 끝나고 (거의) 모든 일에서 손을 떼면서 한동안 쉬었는데, "너 아니면 안 된다"는 '감언이설'에 조금씩, 다시 '일의 늪'으로 빠지고 있다. 그래도 "나 아니면 안 된다"는 생각을 굳게 하고 있지는 않고 다시 빠져나올 궁리를 이리저리 하고 있어서 희망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먹고 사니즘'에 충실하게 '생계형 멀티잡'을 뛰고 있는 '생활 전선'은 더 심하다. '하나'를 알면 '열'을 말하며 살고, 한 달에도 여러 편의 가볍지 않은 글을 써 대면서 은퇴는커녕 삶의 무게에 헉헉대고 있다. 캘린더에 할 일을 쭉 써 놓고도 읽는 걸 잊어버리거나, 전에 저장해 놓은 자료를 못 찾아서 인터넷에서 똑같은 자료를 찾느라 시간을 보냈는데, 그걸 PC에 저장하다가 예전 자료를 발견한다든지 하여 일 처리의 효율성은 엄청 떨어졌다. 그나마 떨어진 '효율성'에 반비례해 객관적 현실에 대한 나 자신의 '수용성'이 늘어난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이 아닐까 싶다.

 

이렇게 사는 내가 최근 보다가 눈물이 많이 나서 화장실에 가야 했던 영상이 있다.

 

- '서이초 선생님' 사촌오빠의 '증언'(2023.8.5) [유튜브 동영상 보기 ▶]

 

신규 임용 2년차, 겨우 25살의 초등학교 선생님이 교실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시고, 수만 명의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7월~8월의 폭염과 폭우를 뚫고 매주 주말마다 검은 옷을 입은 채 도심에 모이는 뉴스를 우연히 접한 뒤 어떤 상황인지 찾아보다가 발견한 영상이다.

 

고등학교 때 '교련'이란 교과목의 이름으로 '군사훈련'을 받고, 무지막지하고도 어이없는 폭력을 휘둘렀던 선생(차마 지금도 '님'자를 붙일 수 없는)을 보며 '야만의 시대'를 살았던 데다, 공교육의 도움을 거의 받지 못하고, 검정고시로 중등교육을 마친 우리 집의 '자유로운 영혼'들과 한 10년을 동고동락했던 터라 공교육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큰 관심이 없었는데, 시대가 바뀌어도 정말 한참 바뀌었나보다.

 

더욱이 지난 8월 24일 후쿠시마 원전 폭발 핵 오염수를 태평양에 버리기 시작함으로써, 20세기 전쟁범죄국 일본이 21세기 환경범죄국의 길로 '과감하게' 들어서는 것을 보면서, 체력도, 정신력도, 삶의 무게도 따라주지 않아, DJ의 '명언'에 기대 벽에 대고 욕을 좀 하거나, 가끔 블로그에 글을 쓰는 정도로 지나던 사회적 일상을 바꿔야 하나 하는 생각도 든다.

 

교회 텔방에 올라온 공지를 보고, 그냥 한 구석 차지하고 앉아 있으면 될 것 같아 나간 시청 앞에서 인원이 적어 생각지도 않게 '핵 폐수 방류 규탄' 현수막의 한 쪽 끝을 들고 걸었는데, 교회의 낯선 현수막에 많은 참가자가 현수막 사진을 찍기도 하고, 교회에서 왔냐, 요즘 교회 같지 않다, 는 등 여러 얘길 들었다. 이분들 우리 교회에 한 번씩은 오시길 '세게' 기도해 본다. (이게 교회 '부흥' 전략인가?)

 

예전에 가끔 'N빵'하자는 얘길 했다. 밥 먹고, (대충) 전체 금액을 먹은 사람 수로 나눠 밥값을 내자는 의미다. 최근 2030세대부터 5060세대에 이르기까지 일상에서 교류하고 살면서 이제는 '당위'와 '헌신'의 시대는 가고, '자발'과 '1/N'의 시대가 왔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몸도 머리도 생활도 따라주지 않는 상황에서 그나마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좀 찾아보고, 적당하게 오래갈 수 있는 1/N을 맡아야 '각자도생'의 바다를 건널 수 있는 배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길목 또한 N이 좀 적당하게 큰 우리네 인생의 '배'가 되길 기대해 본다.

강은성-프로필이미지.gif


  1. 1/N?

    막연하게나마 50대에 은퇴하겠다는 생각을 했던 터라 교회에서 맡은 직책의 임기가 끝나고 (거의) 모든 일에서 손을 떼면서 한동안 쉬었는데, "너 아니면 안 된다"는 '감언이설'에 조금씩, 다시 '일의 늪'으로 빠지고 있다. 그래도 "나 아니...
    Date2023.09.02 Views279
    Read More
  2. 장마와 더위를 적당히 즐기는 방법?

    2023년도 벌써 절반이 훌쩍 지났다. 분주한 삶을 살았지만, 유난히 빨리 지나갔다. 교회 건축 업무 중 일부를 맡아 나름 열심히 보낸 기간이기도 하다. 건축 업무로 고생하던 분들이 여러 일로 지쳐, 업무 대행자가 필요했고, 그 일이 마지막에 나에게 왔다. ...
    Date2023.08.04 Views260
    Read More
  3. 길목 다시 10년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를 다시 보았습니다. 2012년 이명박정권 말기 1년여를 남겨두고 개봉한 영화입니다. 천민인 하선은 아픈 광해대신 왕이 됩니다. 하선은 백성의 어버이로서 왕이 해야 할 일은 백성을 잘 보살피는 것이라는 것을 점차 깨닫게...
    Date2023.07.12 Views265
    Read More
  4. 길목 10주년을 맞이하며

    "삶의 작은 공간으로부터 희망을 함께 나누는 큰 길에서 만나는 길목“ 올해 6월 2일은 사회적협동조합 길목이 시작한 지 1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길목 협동조합으로 4년 9개월, 사회적협동조합 길목으로 5년 3개월이 지났습니다. 2013년에 향린교회는 ...
    Date2023.06.15 Views299
    Read More
  5. 4월 단상

    주론산 조팝나무꽃이다. 주론산(舟論山)은 제천에 있는 산이다. 아니 더 정확히는 주론산 밑에 제천이라는 도시가 자리 잡았다. 물론 주론산의 명명을 거슬러 올라가면 이러저러한 설명이 필요할 것이다. 배론성지가 주론산 아래 터를 잡고 있다. 일대가 배의...
    Date2023.05.11 Views291
    Read More
  6. 생태적인 삶

    자연은 신비롭다. 위 사진은 현재 사는 집으로 이사 오던 2002년 10월에 미국으로 간 박훈·양정실집사가 선물로 보내준 행운목이다. 벌써 20년이 넘었다 그동안 무거워서 분갈이는 한 번 했다. 그런데도 원목에서 가지가 나서 아직도 싱싱하게 크고 있...
    Date2023.04.11 Views291
    Read More
  7. 지금 우리 학교폭력은

    아이들이 학교에서 새 친구를 사귀는 달 3월입니다. 새로 시작하는 아이들에게 아름다운 삶을 기원하고 싶지만, 현실은 이러한 기원과 동떨어져 있습니다. 지난 3년간 코로나19 팬더믹으로 중단되었던 대면 수업이 재개되면서 학교폭력(이하 학폭) 문제도 다...
    Date2023.03.09 Views278
    Read More
  8. 부정행위

    국가자격시험을 치러 가면 모니터에는 부정행위에 대한 규정을 제일 먼저 공지를 해준다. 시험을 치르러 온 수험생들은 소지한 모든 전자기기의 전원을 꺼야 하고 시험을 보면서 어떤 부정행위도 금지하며 부정행위에 대한 불이익을 충분히 설명을 해준다. 그...
    Date2023.02.08 Views273
    Read More
  9. 修身濟家治國平天下

    고대 그리스인들은 시간을 크로노스와 카이로스 두 가지로 인식했다고 합니다. 크로노스는 객관적, 양적인 개념의 시간, 카이로스는 시간에 부여하는 의미에 따라 다르게 느끼는 주관적인 개념의 시간입니다. 새해를 맞이할 때 사람들은 시간을 카이로스로 더...
    Date2023.01.05 Views349
    Read More
  10. 고통과 희망

    내담자 B가 어느 날 상담 시간에 선생님, 이유를 알 수 없는 불안과 죽을 것 같은 고통 이 사라지기를 기대하면서 상담에 왔어요. 그런데 상담을 통해서 깨달았어요. 나한테 없는 것이 발견될 때마다 시기심에 뒤집어져서 미칠 것 같았고, 화살이 내 가슴에 ...
    Date2022.12.04 Views3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