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영국의 걸으며 생각하며]

cac8d6

적록동맹

posted Nov 01,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적록동맹

 

 

우연히 정말로 우연히 글을 써야지 하면서 자판에 손가락을 얹었는데 우를 치고 말았다. 그래서 첫 단어는 우연히로 정했다. 

우연히 알게 되었다. 소속 기관이 정치적 중립을 요구한다는 사실을..

그리하여 오랜 기간 당비를 납부하며 정강과 정책의 변화를 유심히 살펴보던 진성 당원이자 대표자를 뽑을 권리가 있던 풀뿌리 당원은 하루아침에 비당원이 되고 말았다.

밥을 벌어먹는 곳에서 특정한 당 소속을 금지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난 다음부터 밥과 당원 사이의 힘의 균형은 무력하다.

 

뜬금없이 독일 선거 결과가 궁금하였다. 메르켈 총리의 기민당은 집권당의 지위를 내주었다. 사민당은 약진하여 1당의 지위를 획득하였고 녹색당은 무려 51석을 추가로 차지하여 118석의 제3당이 되었다. 이전 총선과 비교하여 득표율 증가율은 원내 정당 중에서 가장 높다. 적록연정이라고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사민당과 연합정부를 이루어 집권당으로 독일을 이끈 전력도 있다. 내친김에 독일의 에너지원별 전기 발전량까지 찾아보았다. 바람이 27.2%, 햇빛 10.5%, 동식물(biomass) 9.4%, 물 3.8%.. 아! 반을 넘었구나..

 

 

noname01.jpg

독일의 에너지원별 전기 발전량 비율

자료:https://en.wikipedia.org/wiki/Renewable_energy_in_Germany#cite_note-12

 

野合이라 불렀을 것이다. 벌판을 걷다 보면 야합이라는 단어가 슬그머니 떠 올라 피식 웃기도 하였다. 불그죽죽한 것들과 푸르딩딩한 것들이 붙어 세상을 휘저었으니.. 허나 적록이 붙어 추진했던 재생가능 에너지 정책은 기민당이 1당이 된 이후에도 거침없이 진행되었으니 적록이 광야에서 홀로 외친 소리는 아니었나 보다. 

 

모든 잡설은 홍일선 시인의 ‘심고’라는 시를 우연히 읽고 떠오른 것들이다. 하늘은 낮고 바람은 서늘하다. 벌판을 나가 걸으면 적과 록의 야시시한 戀情을 목격할 수 있으려나..

 

심고

                                                    홍일선

 

밥이 하늘님이라고 믿으신

아버지와 어머니는 흙님당 무명 당원이셨습니다

나는 그 당원증을 무난히 승계하였습니다

아울러 나는 숲님당 당원입니다.

그리고 강님당 당비도 꼬박꼬박 내고 있습니다

또 나는 햇빛님당 오랜된 당원이며

곡식님당 풀뿌리 당원이기도 합니다

내일 감자를 캔 뒤에는 흰구름님당에 

벼꽃이 활짝 피면 떠돌이별님당에도 입당

늦었지만 조부모님이 평생 흠모하신 인내천

경인 경천 경물당 권리당원이 될 생각입니다

 

김영국-프로필이미지.gif

 


  1. 적록동맹

    적록동맹 우연히 정말로 우연히 글을 써야지 하면서 자판에 손가락을 얹었는데 우를 치고 말았다. 그래서 첫 단어는 우연히로 정했다. 우연히 알게 되었다. 소속 기관이 정치적 중립을 요구한다는 사실을.. 그리하여 오랜 기간 당비를 납부하며 정강과 정책의 ...
    Date2021.11.01 Byadmin Views383
    Read More
  2. 당랑(螳螂)이 거철(拒轍)한들

    당랑(螳螂)이 거철(拒轍)한들 1. 운문사(雲門寺)는 청도에 있는 절이다. 월정사 입구에 전나무 숲이 있다면 운문사 들어가는 길엔 소나무 숲이 있다. 아름드리 소나무가 반겨주는 절집이라니! 그 사이를 걷고 있노라면 절로 정갈한 마음이 들지 않을 수 없다. ...
    Date2021.09.26 Byadmin Views307
    Read More
  3. 늙어감에 대하여

    늙어감에 대하여 이번 여름은 예상했지만 갑작스레 다가온 일로 분주하였다. 고향에 홀로 계신 어머니와의 대화에서 이전과 다른 현상이 나타나니 이는 실로 당혹스럽다. 다만 ‘나이듦’이 ‘늙어감’으로 전환되는 시점이 이미 도달하...
    Date2021.08.25 Byadmin Views320
    Read More
  4. DMZ 평화행진에 붙여

    DMZ 평화행진에 붙여 조헌정 목사님이 길잡이가 되어 고성에서 강화까지 2021년 7월 27일부터 19일간 이어질 DMZ 평화행진을 접하고 파리에서 썼던 글이 떠올랐다. 역사를 산다는 건 벽을 문이라고 지르고 나가야 하는 것이라 외쳤던 문익환 목사님 시구가 생...
    Date2021.07.29 Byadmin Views243
    Read More
  5. 노란조끼 마지막 시위 : 약탈과 방화, 노란조끼 vs 마크롱 그들은 간극을 좁힐 수 있나?

    노란조끼 마지막 시위 : 약탈과 방화, 노란조끼 vs 마크롱 그들은 간극을 좁힐 수 있나? 14번째 시위까지 노란조끼 시위를 지켜본 소회를 글로 쓰고 오늘 18번째 시위에 대해 글을 쓰고 이국땅 프랑스에서 벌어진 장기간의 시위에 대한 글을 마무리하려 한다. ...
    Date2021.07.01 Byadmin Views294
    Read More
  6. 노란조끼 14번째 시위: 투석전

    노란조끼 14번째 시위 : 투석전 고향 가는 기차 안에서 글을 쓰고 있습니다. 열한 시간 반 비행기를 타고 와서 공항철도로 서울역까지 그리고 지금은 KTX 안에서 글을 쓰고 있습니다. 중간중간 세수도 하고 밥도 먹고 우연히 서울역 엘리베이터 앞에서 직장동...
    Date2021.05.30 Byadmin Views314
    Read More
  7. 노란조끼 13번째 시위: 불타는 바리케이드

    노란조끼 13번째 시위: 불타는 바리케이드 지금은 익숙하지 않지만, 우리보다 한 세대 위는 도리우찌라는 표현을 흔히들 쓰곤 하였다. 물론 일본 강점기에 형사들이 쓰고 다녀 뒷맛이 개운한 것만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이 모자를 쓰고 나름 멋을 부린 사람들도...
    Date2021.05.03 Byadmin Views344
    Read More
  8. 노란 조끼 12번째 시위: 컬렉션의 힘

    노란 조끼 12번째 시위: 컬렉션의 힘 강원도의 힘이라는 영화가 있다. 일상의 비루함, 욕망과 허위의식이라는 주제에 천착하여 같은 공간에 있으며 엇갈리는 동선을 배치하여 이를 극명하게 드러나게 한 영화적 문법에 열광했으나 한때의 열정은 식게 마련이며...
    Date2021.03.31 Byadmin Views296
    Read More
  9. 노란조끼 11번째 시위: 프랑스의 옹졸함을 보다

    노란조끼 11번째 시위: 프랑스의 옹졸함을 보다 2019년 1월 26일 토요일, 열한 번째 노란조끼 시위는 계속된다. 마크롱의 핵심이 빠진 대처와 대중의 외면으로 개혁동력을 상실해 가고 있다. 여론이 돌아가는 형국을 자기편으로 돌리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으나...
    Date2021.03.01 Byadmin Views293
    Read More
  10. Act Ⅹ 노란조끼 10번째 시위: 거리는 텅 비었다. 나는 조바심으로 읽혔다

    Act Ⅹ 노란조끼 10번째 시위: 거리는 텅 비었다. 나는 조바심으로 읽혔다 다시 돌아온 토요일 오후, 발걸음이 자연스럽게 개선문 광장을 향하였다. 직접 가서 눈으로 확인한 지난주 9번째 시위 장소인 개선문 광장에 모여든 노란조끼 시위대 위로 터지며 우아...
    Date2021.01.31 Byadmin Views27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