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감마당]

9bdbc4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군 이후에도 중국과의 군사 긴장은 계속될 것이다

posted May 30,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617px-America_Withdraw_from_Afghanistan_resize.jpg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군 이후에도 중국과의 군사 긴장은 계속될 것이다

 

 

2001년 9.11 테러 후에 아프가니스탄을 점령한 미국은 최근까지 탈레반 등 급진 이슬람주의자 세력 제거 명목하에 미군을 주둔시켜왔다. 또한, 신장에서 영어 강사로 위장했던 전직 CIA 요원 카터스 이안 아메스(Carter Ian Ames)의 『신장의 CIA(The CIA In Xinjiang)』에 의하면 CIA는 아프가니스탄 기지에서 출발한 ‘드론’을 통해서 자신에게 자금 등 여러 물자를 지급했다고 한다. 그러나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타이완을 둘러싼 중국과의 위협 및 경제적 위상이 커지면서, 올해 9월 11일에 아프가니스탄에서 철군할 예정이다. 하지만 아프가니스탄 보안군 등 반탈레반 군대에 봉급을 지급하는 등, 간접 지원하기 위해 미군을 아프가니스탄의 주변 국가인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 등 중앙아시아 지역에 미군 주둔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의 시도는 쉽지 않을 것이다. 소련 해체 이후 독립한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헌법 개정으로 ‘땅, 나라’라는 의미의 ‘스탄’이라는 단어를 국명에서 제거) 공화국들은 중국과 상하이협력기구를 통해서 경제적, 군사적 교류를 많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소련 시절에 러시아가 제공하지 못하는 소비재 산업 등을 소련 해체 이후에 신장위구르자치구를 통해서 수출하고 있다. 그 결과, 본인이 2015년 우즈베키스탄 단체 여행을 갔을 때 이용했던 차량이 ‘중국제’이고, “중국인과 한국인 관광객들을 가장 좋아한다.”고 환대한 우즈베키스탄 식당 주인을 볼 정도로, 중국의 중앙아시아 국가에 대한 경제교류는 러시아보다 더 많아지게 되었다. 그 대가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소련 시절 중국에서 이주해온 위구르족들을 탄압하는 중국에 협력하면서 현지 위구르족들은 다시 해외로 이주해야 했다. 심지어 키르기스처럼 지극히 예외적으로 두 차례나 대통령을 퇴진시킨 국가에서조차 현지 중국 기업의 반노동 행위를 비판하는 시위도 사실상 금지되어 있다. 또한 중국은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아프가니스탄 접경지역인 타지키스탄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다. 따라서 아프가니스탄에 철군하는 미군이 키르기스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에 주둔하려고 하는 시도는 분명히 현재 중앙아시아에 경제적 정치적 이해관계가 밀접한 중국과 여전히 중앙아시아 국가 출신 이주노동자들과 유학생들을 받는 러시아의 반발에 직면할 것이다.

 

그런데도 반중 성향의 전문가들과 노동자, 민중들이 규정하는 것과 달리 중앙아시아 국가는 옛 소련 시절처럼 러시아의 식민지가 아니다. 동시에 실제 ‘식민지’ 신장과 마찬가지로 중국의 ‘경제적 식민지’라고도 규정해서도 안 된다. 비록 이들 국가의 지배계급들은 옛 소련 공산당 관료 출신들이기는 하지만, 독립 후에는 “러시아 지배와 공산주의”를 상징하는 레닌과 마르크스 동상을 철거했다. 소련 시절과 달리 러시아어 대신 각국의 민족어 사용(선거 출마 등 공직을 맡을 조건이기도 하다)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가 주도하에 역사 속에서 자국의 영웅을 미화하는 영화인 ‘몽골’(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은 ‘칭기즈칸’을 카자흐인이라고 주장한다.)과 고대 페르시아 제국 키루스 황제의 침입을 막은 고대 유목민인 스키타이의 여왕 ‘토미리스(우즈베키스탄)’ 등 영화를 만들고 있다. 심지어 카자흐스탄은 스탈린 시절 소련의 ‘핵실험’으로 한 지역의 마을이 사라지는 내용인 ‘<스탈린에게 바치는 선물>이라는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비록 2001년 ‘테러와의 전쟁’ 당시 미군에게 군대를 주둔시키는 것을 허용한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는 이후에 미군을 철수시켰다.

 

따라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지배계급들은 미군을 받아들일지 여부를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 못지않게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기초해서 판단할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어떤 결정을 내리든, 중앙아시아 여러 국가의 민중들에게는 코로나19를 계기로 격화되고 있는 경제위기와 제국주의적 긴장의 피해자가 될 것이 분명하다.

 

김재원-프로필.gif

 


  1.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군 이후에도 중국과의 군사 긴장은 계속될 것이다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군 이후에도 중국과의 군사 긴장은 계속될 것이다 2001년 9.11 테러 후에 아프가니스탄을 점령한 미국은 최근까지 탈레반 등 급진 이슬람주의자 세력 제거 명목하에 미군을 주둔시켜왔다. 또한, 신장에서 영어 강사로 위장했던 전직 CI...
    Date2021.05.30 Views395
    Read More
  2. [포토에세이] 파란 등대

    [포토에세이] 파란 등대 가는 길 곳곳이 막혀 있을 때가 있습니다. 돌아가자니 힘들고 넘어가자니 두렵고 멈춰있자니 눈물이 납니다. 파란 수채화를 배경으로 멋진 풍경이 들어왔습니다. 홀린 듯 다가갔지만 이마저 보호 펜스 철조망 모래 바다가 버티고 있습...
    Date2021.05.01 Views367
    Read More
  3. 반중 정서에 대해 - 평범한 중국인 민중과 중국 정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반중 정서에 대해 - 평범한 중국인 민중과 중국 정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와 2019년부터 계속된 홍콩 항쟁 참가자들에 대한 탄압, 신장위구르자치구의 강제수용소(소위 "재교육 시설"), 2021년 2월 군부 쿠데타에 맞선 미얀마 민중들의...
    Date2021.03.31 Views373
    Read More
  4. [포토에세이] 기적

    [포토에세이] 기적 파란융단이 바다에서 쉬고 있습니다. 태양이 붉은 손을 내밀며 올라오라 재촉하지만,고개도 못들고 거친 숨을 쉬며 파도를 만듭니다. 하얀거품이 잠잠해질 때 쯤.. 지친등을 보이며 아쉬운듯 천천히 올라갑니다 이른 새벽 바다가 보이는 동...
    Date2021.03.01 Views387
    Read More
  5. [포토에세이] 우리가 모르는 것, 우리가 아는 것

    [포토에세이] 우리가 모르는 것, 우리가 아는 것 우리는 모른다. 소파에 누워 동물의 왕국을 보며 동물이 얼마나 배고픈지 모른다. 얼마나 목마른지 모른다. 한 줌 풀을 뜯는 일이 한 모금 물을 마시는 일이 얼마나 무서운지 우리는 모른다. 우리는 모른다. ...
    Date2021.01.31 Views439
    Read More
  6. [포토에세이] 이공이공

    [포토에세이] 이공이공 화동의 귀염에 난리가 났습니다 할아버지도 삼촌도 이모도 함박웃음에 물개박수를 칩니다 우렁찬 환호가 무대를 가득 채웁니다 나풀나풀 분홍드레스 멈칫멈칫 두려움 꼬깃꼬깃 수줍음 망울망울한 눈으로 엄마도 불러보고 혼자라는 사실...
    Date2020.12.30 Views414
    Read More
  7. [포토에세이] 달걀귀신

    [포토에세이] 달걀귀신 어릴 적 무수한 괴담 속에서 가장 난해한 귀신은 얼굴 없는 달걀귀신일 것이다. 핏발선 눈도 피 묻은 살점이 잔뜩 낀 날카로운 이빨도 없어 한없이 연약해 보이는 여자 귀신을 우리는 무서워했다. 얼핏 보기에 아무런 해를 끼칠 것 같...
    Date2020.11.30 Views444
    Read More
  8. [포토에세이] 솥

    [포토에세이] 솥 서울에서 태어난 저는 무쇠솥에 대한 향수는 없지만 양은솥에 대한 그리움이 있습니다. 솥에서 뭉실뭉실 피어나는 작은 구름이 어릴적 소박한 부엌을 불러옵니다. 연탄불에 놓인 하얀솥,겨울은 따스한 물과 음식을 제공하는 보일러였고 여름...
    Date2020.11.01 Views383
    Read More
  9.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의 기원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의 기원 최근에 유럽과 중앙아시아 사이에 위치한 코카서스 지역의 나고르노-카라바흐(이후 '야르차흐 공화국'으로 개명함)를 둘러싼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분쟁은 러시아의 중재로 휴전 협정이 체결되기는 했지...
    Date2020.10.31 Views437
    Read More
  10. [포토에세이] 장독

    [포토에세이] 장독 우리는 아파트를 짓고 땅에서 멀어졌다. 사람이 땅에 살기 시작하면서 땅은 사람을 포근히 감싸주었다. 땅을 파고 기둥을 세워 짚을 덮어 집을 만들면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했다. 다람쥐처럼 겨울을 나기 위해 먹을 것도 땅속에...
    Date2020.09.29 Views56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