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감마당]

9bdbc4

산티아고 가는 길, 낯선 인연 속에 나를 만나다

posted Jun 25, 2018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진_resize.jpg

 

 

칠년 만이다. 누가 그랬다. 한번도 안 가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갔다 온 사람은 없다고. 처음 '카미노 데 산티아고'를 알게 되었을 때는 동네 도서관에서 잘못 빌린 책을 읽으면서부터였다. 남미에 가고 싶다는 노래를 부르고 다니던 때에 칠레의 산티아고를 생각하며 빌렸는데, 집에 와서 펼쳐보니 스페인의 산티아고를 다녀온, 아니 800킬로미터를 무언가를 이용해서 타고 다닌 것도 아니고 심지어 걷고 온 내용이었다. 순식간에 빠져들어 읽고 더 많은 책을 빌려왔다. 그렇게 잘못(?)된 시작으로 알게 된 산티아고 순례길은 걷기 좋아하는 나로선 결심하고 떠나서 걷고 오는 게 그리 어렵지 않았다.

 

그렇게 처음 걸어보았고, 해마다 5월이면 그 길을 떠올리며 꿈을 꾸었지만 그뿐이었고, 그 뒤 몇 년을 인도의 라다크에서 여름을 나며 그저 꿈만 꾸던 어느 날, 그 길을 같이 걷자는 제의 겸 부탁이 들어왔다. 경험자를 필요로 했던 상황이라 흔쾌히 승낙했고, 그렇게 다시 걷게 된 산티아고 순례길. 그리워하고 꿈꾸던 그곳을, 무엇보다 감사하게도 아직 건강이 허락되어 즐겁고 행복하게 다녀왔다.

 

4월에 시작한 길인데도 생각보다 많은 이들이 걷고 있었다. 첫날부터 피레네산맥을 넘어야했지만, 눈이 오고 있는 날씨로 인해 산맥 옆구리를 돌아가는 우회로를 안내받아 비교적 순탄하게 시작한 순례길이었다.

 

 

산티아고2resize.jpg

 

 

국적, 인종, 나이, 직업, 목적... 너무나도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40여 일 동안 하루 평균 20킬로미터를 8시간가량 걸었다. 매일 새벽 6시에 일어나 가벼운 아침을 먹고 늦어도 8시에는 알베르게를 떠나야했다(산티아고를 걸으며 묵게 되는 숙소를 알베르게라고 한다). 중간에 카페나 바에서 커피 한잔하며 쉬기도 하고 점심을 먹으러 레스토랑에 들르기도 하며 걷다보면 어느새 그 날 머물 마을이 나타난다. 알베르게에 도착하자마자 침대를 배정받고 샤워, 빨래를 한 후 저녁 먹을 준비를 하는, 단순하지만 바쁜 40여 일을 보냈다.

 

어떤 날은 하루 종일 유채꽃밭만 보며 걸을 때도 있었고, 하루 종일 끝없는 지평선으로 펼쳐진 포도밭, 밀밭, 보리밭 등 다양한 농작물을 심은 밭을 보며 걸었다. 특히 해발 800미터의 메세타 고원을 내리 열흘 가량 걷기도 했는데, 북쪽에서 불어오는 강한 바람에 뺨을 맞는 얼얼함을 느껴가며 걸었던 그 기억은 떠올릴 때마다 생생해 도무지 잊을 수가 없다. 1,600미터 높이의 '오세브레이로' 정상에 올라가던 날엔 휠체어를 탄 친구를 앞에서 당기고 뒤에서 밀며 힘겹게 올라가던 브라질 4인방의 첫인상도 역시 잊을 수 없다. 그 뒤로 같은 알베르게에 머물기도 하고 같은 식당에서 식사를 하기도 하며 여러 번 만날 때마다 반갑게 인사를 하는 사이가 되었다. 82살 벨기에 할아버지의 피가 흐르는 얼음장 같은 손을 잡아드리며 배낭끈 조절을 도와드리기도 했고, 발이 아파 고생하는 이탈리아 커플에게는 오렌지와 약을 주며 무사히 산티아고까지 가라며 뜨거운 포옹을 했었고, 목소리만 들어도 유쾌한 페루에 사는 독일 사람도 만났으며, 옆에서 묵묵히 같이 걷고 있기만 해도 마음이 든든해지던 친구들도 있었다.

 

나에게 있어 산티아고 순례길은 길에서 만나는 새로운 인연들, 나와는 다른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는 길이다. 특별히 의미를 두지 않고 걸어도 좋은 이 길에서, 나는 누구에게 어떤 기억으로 남아있을까...

 

 산티아고3resize.jpg

 

정진희-프로필이미지.gif

 


  1. [포토에세이] 기적

    [포토에세이] 기적 파란융단이 바다에서 쉬고 있습니다. 태양이 붉은 손을 내밀며 올라오라 재촉하지만,고개도 못들고 거친 숨을 쉬며 파도를 만듭니다. 하얀거품이 잠잠해질 때 쯤.. 지친등을 보이며 아쉬운듯 천천히 올라갑니다 이른 새벽 바다가 보이는 동...
    Date2021.03.01 Views225
    Read More
  2. [포토에세이] 우리가 모르는 것, 우리가 아는 것

    [포토에세이] 우리가 모르는 것, 우리가 아는 것 우리는 모른다. 소파에 누워 동물의 왕국을 보며 동물이 얼마나 배고픈지 모른다. 얼마나 목마른지 모른다. 한 줌 풀을 뜯는 일이 한 모금 물을 마시는 일이 얼마나 무서운지 우리는 모른다. 우리는 모른다. ...
    Date2021.01.31 Views294
    Read More
  3. [포토에세이] 이공이공

    [포토에세이] 이공이공 화동의 귀염에 난리가 났습니다 할아버지도 삼촌도 이모도 함박웃음에 물개박수를 칩니다 우렁찬 환호가 무대를 가득 채웁니다 나풀나풀 분홍드레스 멈칫멈칫 두려움 꼬깃꼬깃 수줍음 망울망울한 눈으로 엄마도 불러보고 혼자라는 사실...
    Date2020.12.30 Views205
    Read More
  4. [포토에세이] 달걀귀신

    [포토에세이] 달걀귀신 어릴 적 무수한 괴담 속에서 가장 난해한 귀신은 얼굴 없는 달걀귀신일 것이다. 핏발선 눈도 피 묻은 살점이 잔뜩 낀 날카로운 이빨도 없어 한없이 연약해 보이는 여자 귀신을 우리는 무서워했다. 얼핏 보기에 아무런 해를 끼칠 것 같...
    Date2020.11.30 Views245
    Read More
  5. [포토에세이] 솥

    [포토에세이] 솥 서울에서 태어난 저는 무쇠솥에 대한 향수는 없지만 양은솥에 대한 그리움이 있습니다. 솥에서 뭉실뭉실 피어나는 작은 구름이 어릴적 소박한 부엌을 불러옵니다. 연탄불에 놓인 하얀솥,겨울은 따스한 물과 음식을 제공하는 보일러였고 여름...
    Date2020.11.01 Views195
    Read More
  6.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의 기원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의 기원 최근에 유럽과 중앙아시아 사이에 위치한 코카서스 지역의 나고르노-카라바흐(이후 '야르차흐 공화국'으로 개명함)를 둘러싼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분쟁은 러시아의 중재로 휴전 협정이 체결되기는 했지...
    Date2020.10.31 Views270
    Read More
  7. [포토에세이] 장독

    [포토에세이] 장독 우리는 아파트를 짓고 땅에서 멀어졌다. 사람이 땅에 살기 시작하면서 땅은 사람을 포근히 감싸주었다. 땅을 파고 기둥을 세워 짚을 덮어 집을 만들면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했다. 다람쥐처럼 겨울을 나기 위해 먹을 것도 땅속에...
    Date2020.09.29 Views304
    Read More
  8. 영화 <뮬란>과 중국 소수민족 문제

    영화 <뮬란>과 중국 소수민족 문제 최근에 중국 남북조시대 때 북방 유목민족에 맞선 한족 여성의 야사로 중국과 대만에서 드라마로도 널리 제작된 <화목란(화무란)>이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의 영화제작사 ‘월트 디즈니’(메카시즘이 한창이던 ...
    Date2020.09.29 Views417
    Read More
  9. [포토 에세이] 各自圖生(각자도생)

    포토 에세이 : 各自圖生(각자도생) 도로가 고막을 찢어버릴 듯 사나운 경적을 울린다. 회색 먼지와 검은 연기가 숨을 막는다. 부서진 돌은 땅을 향해 모래무덤을 만들고 골재가 된 모래는 아파트가 되어 자본의 욕망이 되었다. 그리고 일부는 아스팔트가 되어...
    Date2020.08.28 Views230
    Read More
  10. [포토 에세이] 매미

    [포토 에세이] 매미 돌림병을 멀리해 숨어 산 지 어느새 반년. 창밖에 매미 한 마리 날아왔다. 예전 창문에 붙은 매미를 까마귀가 물어가는 모습을 보고 겨우 며칠 사는 매미가 불쌍하다고 생각했다. 단 한 번의 만남을 위해 몇 년을 땅속에서 지낸 매미를 딱...
    Date2020.07.28 Views2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