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중 정서에 대해 - 평범한 중국인 민중과 중국 정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posted Mar 31, 2021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Anti-coup_protest_near_the_University_of_Yangon_(8_February_2021)_resize.jpg

 

 

반중 정서에 대해 - 평범한 중국인 민중과 중국 정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와 2019년부터 계속된 홍콩 항쟁 참가자들에 대한 탄압, 신장위구르자치구의 강제수용소(소위 "재교육 시설"), 2021년 2월 군부 쿠데타에 맞선 미얀마 민중들의 항쟁 중에 신원을 알 수 없는 자들에 의한 자국 기업에 대한 방화사건을 항의할 때 빼고, “미얀마 내정 문제”라며 침묵하는 중국 정부(미얀마 군부와 유착되었는지는 불확실하다.)에 대한 사람들의 분노가 늘어나고 있다. 인구의 약 35%가 소수민족인 미얀마에서도 군부와 중국정부에 대한 반발이 반중정서로 이어지면서 미얀마 화교들을 핍박하는 미얀마인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우익과 지배계급은 이러한 중국정부의 비민주적인 행태에 대한 분노를 이용한다. 가령 한국의 태극기집회 참가자들의 일부는 중국 국기에 “공산주의 중국은 나가라!”라고 쓰거나, 옛 “영국령 홍콩 깃발”을 들기도 한다. 미국의 트럼프와 대만의 “대만독립” 지지세력들은 이러한 반중 정서를 자신들의 선거운동에 활용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강원도 차이나타운 건설 철회를 요구하는 청원에 14만 명을 돌파했고, 드라마 《조선구마사》에서 충녕군이 선교사에게 중국음식을 대접하는 장면 및 작가가 “동북공정식 역사왜곡을 한다.”고 폐지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들은 평범한 중국인들이 약한 나라를 우습게 여기고, 중국 정부를 무조건적으로 신뢰하기 때문에, 중국인들과의 연대는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퍼뜨리고 싶어 한다. 

 

하지만 중국 정부를 강경히 비판하면서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것처럼 말하는 국가의 지배층들도 중국 못지않게 위선적이기는 마찬가지이다. 

가령 중국의 홍콩 항쟁 탄압을 부각하면서, 국민당과의 선거에서 승리해서 재집권한 타이완의 차이잉원 정권은 정작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로 인해 대만에 밀입국을 시도한 홍콩 활동가들을 추방하기도 했다. 

 

중국정부와 달리, 미얀마 군부를 “규탄”하는 한국 정부도 중국 정부를 떠나서 한국에 망명 신청한 위구르족들을 추방하거나, 친서방적인 위구르족 독립운동 단체인 세계위구르회의 활동가의 입국을 불허하기까지 했다. 또한 한국의 대표적인 군수업체인 포스코는 미얀마 군부 관련 기업과 거래했다는 의혹이 있다. 

 

한편, 모든 중국인이 중국 정부의 입장을 전부 수용하는 것도 아니다. 1960-70년대 문화대혁명과 80년대에 시작된 개혁개방을 거치면서 중국 정부에 대해 비판적인 사고를 갖고, 다른 나라의 민주주의에 관심을 갖는 중국인들도 많아졌다. 설령, 중국인들의 의식이 불균등하기에, 중국의 소수민족의 독립을 지지하지 않거나, 중국 공산당의 과거 항일투쟁과 현재의 경제 발전의 공로를 일부 인정할지라도 말이다. 

가령 홍콩 항쟁 당시 홍콩에 살고 있던 일부 중국 학생들은 홍콩 항쟁을 “서방의 음모”로 규정하는 중국 정부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갖고 항쟁에 동참했다. 일부 중국 대학생 마르크스주의자들은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전태일 평전》 등을 읽고, 노동현장에 들어가기도 했다. 2019년 중국 정부의 집중적인 탄압을 받기 전에 내가 SNS로 소통했던 광둥성의 한 중국인 활동가는 “소수민족 문제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자, 그는 “마오쩌둥 시대가 중국 소수민족들과 한족이 단결할 수 있었던 시기”로 여기는 것 같았다. 하지만 “자신도 중국 정부가 소수민족을 차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소수민족과의 연대”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것 같지 않았다. 그리고 내가 보내준 한국의 노동절 민주노총 집회 사진을 보고, 감동하는 것 같았다. 

그리고 2019년 홍콩항쟁에 연대하는 한국인 활동가들의 활동에 한국 거주 중국인들 일부는 지지를 보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미얀마 군부와 일부 반중의식을 가진 미얀마인들의 표적이 된 소수민족의 일부인 화교 단체 활동가들도 중국 정부와 달리 미얀마 군부에 매우 비판적이다. 그들은 특히 순교자로 추앙받는 “태권도를 좋아했던 청소녀와 18세 의대생 모두 화교”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미얀마의 경우, “광주의 학살자” 전두환이 만나려고 한 미얀마 군부 독재자 네윈도 원래 중국계 소수민족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정부나 지배계급에게만 이익이 되는 반중정서는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반중정서가 사라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와 평범한 중국인들의 의식이 다를 수도 있다는 전제를 갖고 서로를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을 한다면, 언젠가 그 가능성이 생길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일부 중국인들이 한국에서 우한에 수백만 개의 마스크를 보내준 것에 대해 “감사한다.”는 생각을 표현한 것처럼 말이다. 

 

김재원-프로필.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