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 진료 일 년을 지나오며

posted Sep 02, 2023
Extra Form
발행호수 고경심(서울36의원)
글쓴이 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띵동.jpg

 

 

방문 진료를 시작한 지 어느새 일 년이 훌쩍 지나갔다. 처음에 가보지 않은 길을 새로 만드느라, 이미 시작하고 있는 의원에 직접 찾아가서 함께 찾아가는 진료를 다녀보기도 하고, 경험이 있는 의사들을 초빙해서 강의를 들어보기도 하고, 장애인 주치의 교육 등 이수해야 하는 인터넷 강의를 받고 수료증을 제출하기도 하고, 머리를 맞대고 우리가 어떤 목적으로 무엇을 지향하면서 활동을 해야 하는지 고민을 나누기도 했다.

 

어떻게 보면 새로운 첫발을 떼는 걸음마를 시작했지만, 우선 시작부터 해놓고 해 가면서 성찰하고 반성하자면서 뛰어든 느낌도 없지 않다. 일을 하다 보니, 행정업무가 미숙해서 시행착오를 하기도 하고, 주어진 약속과 스케줄에 맞추느라 급급해서, 성찰할 시간도 반성할 시간도 충분히 가지지 못한 듯하지만, 경험이 쌓이면서 지식도 늘고 요령도 생기고 새로운 방안이 찾아지기도 하는 것 같다.

 

먼저 막막한 상태에서 같이 고생해 온 창업 멤버들과 나눈 애환과 어려움, 그리고 우정과 동지애가 생각난다. 땀을 뻘뻘 흘리고 헉헉 대면서 더위에 비탈길을 오르기도 했던 여름과, 눈이 와서 미끄러운 길을 살살 걸음으로 내려오던 겨울, 낙엽색이 찬란하게 푸른 하늘과 어울리던 가을과, 부슬부슬 내리던 봄비를 맞던 봄을 회상하면서 사계절을 같이 보내면서 동료들과 나눈 시간들이 생각난다. 힘이 들면서도 힘듦을 불평하기보다도 의의와 보람을 찾고 즐거움을 함께한 귀중한 시간이었다.

 

그다음에는 찾아갔던 환자분들과 가족들, 보호자들을 만났던 여러 사례들이 생각난다. 다양한 사회경제적 조건들, 에스컬레이터가 있는 집과 한강 전경이 내려다보이는 거실을 갖춘 집과 쓰레기 더미로 가득 차서 발 디딜 틈도 없던 집과 반지하집, 그리고 산동네 골목길을 한참 오르고서야 찾을 수 있었던 옥탑방 집까지 다양한 삶의 조건들을 안고 사는 사람들이었지만, 그분들이 당면하여 방문진료를 요청한 문제들은 대동소이했다.

 

"식사를 못 하시고 기운이 없으시다, 갑자기 폭력을 쓰고 험한 말을 하신다, 욕창이 생겼는데 더 넓어졌다, 밤에 잠을 못 주무시고 배회를 하신다, 온몸이 아프다고 하신다, 낙상을 해서 움직이지 못하신다, 환상을 보고 이상한 말을 중얼거리신다, 대변이 며칠간 안 나온다, 연하곤란이 있어 밥을 못 삼키신다, 등등"

 

노인 환자의 가족이나 요양보호사가 위와 같이 호소하는 증상이나 문제들을 해결하러 방문한다. 그러나 과연 얼마나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사처럼 시원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인가? 사실 현장에서 바로 할 수 있는 간단한 혈압과 체온 등 활력징후 측정, 혈당 측정 등과 청진기만으로 진료를 했다고 해서 병원에서처럼 주사나 수술로 당면한 응급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다. 어쩌면 여러 문제에 당면한 환자와 가족이 알아야 할 여러 가지 처치와 의료 정보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대화가 더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문제에 당면하여 어떻게 할지 몰라서 당황하는 경우에 의료진이 가서 설명을 하고 대처방법을 알려주고 필요하면 적절한 처방을 내고 하는 진료행위에 대해 가족들이 안심하고 고마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면서 방문 진료를 나가는 보람을 조금씩 느끼게 되는 것 같다.

 

또 방문을 하면서 나의 노년의 모습을 미리 보고 경험하게 되는 것도 소중한 소득이다. 65세가 지난 나는 앞으로 남은 여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 노인병이 생기고 독립적인 생활을 못하고 다른 이의 손길과 도움이 필요하게 되면 어떻게 할 것인가? 만약 치매가 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물론 지금 여기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것들, 운동과 식사의 균형, 마음 수련과 좋은 인간관계 맺기 등의 생활을 해나가야 하겠지만, 어느 순간 그 어떤 것도 여의치 않을 때 어떤 모습으로 내가 존재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들을 하게 된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어떤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 하는 질문이 나오게 된다.

 

죽음을 성찰하는 것은 죽음 그 자체보다는 죽음을 앞둔 나의 삶을 성찰하는 것이고 죽음 전에 다가오는 여러 가지 변화들 - 기능 장애, 질병, 인지 장애, 거동 불편 등 - 에 대해 당연하게 받아들이면서도 현명하게 대처해야 함을 알게 되는 것이라 하겠다. 개인이 처한 사회경제적 조건에 좌지우지 않고 누구나 다 적절한 돌봄 노동을 제공받고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고 인격권을 해치지 않도록 우리나라 요양보호제도가 잘 정비되는 것도 꼭 필요한 일이다. 과도한 의료상업주의에 휘둘리지 않고 공공의료가 탄탄하게 받쳐주면서 꼭 필요한 필수의료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의료제도의 정비가 또한 필요한 일이다. 지금 산적한 우리나라 의료제도의 문제들을 미미하나마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단초가 되는 방문 의료가 좀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고경심.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