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과 기억, 애도, 그리고 삶

posted Mar 09, 2023
Extra Form
발행호수 고경심
글쓴이 6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죽겠다는 소린가"로 시작되는 최현숙 소설 <황노인 실종사건>을 읽어보면 우리 사회의 가장 아래 계층에 속하는 독거노인들의 삶과 죽음의 내용이 생생하게 드러난다. 소설 속 "가난한 노인들은 세상의 부조리에 자신이 만든 부조리까지 보태어 징그럽게 버티며 수레를 밀어가고 있다"라고 노인들의 삶을 묘사하고 있다. 이어서 황노인이 선택한 자유죽음과 공공장례식에 대한 이야기가 담담하게 이어진다.

 

최근 가까운 사람들의 죽음으로 이 글을 이어가기가 힘들었다. 그중 한 사람은 58세에 암 투병 중 세상을 떠난 고현주 사진작가이다. 제주 서귀포에서 태어난 고인은 2008년부터 안양소년원 아이들에게 사진 찍기를 가르치며 삶의 희망을 전하는 '꿈꾸는 카메라' 작업을 했다. 2016년 암 선고를 받고 암 투병을 하면서 2018년부터 제주 4.3사건 체험자들의 기억을 기록하는 작업을 해서 <기억의 목소리: 사물에 스민 제주 4.3 이야기>(문학동네)로 책을 냈고, 제8회 고정희상을 받았다. 이후 제주 4.3 학살터 현장을 찾아다니며 그분들의 영혼을 위로하는 제를 올리고 사진작업을 계속하였다. 수십 개의 바구니 안에 전등불을 넣어 아름다운 색의 보자기로 싸서 학살 현장에 배치하고 새벽 동틀 무렵의 햇빛을 안으며 사라져가는 그 빛으로 사람들의 영혼을 위로하는 아름다운 사진작업을 하였다. 제주 터진목 바닷가에서는 바다의 썰물에 실려서 멀어져가는 바구니들을 드론으로 찍은 작업으로, 오직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제주를 떠나야만 했던 젊은 청년들의 삶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제주43평화공원_(29).jpg

 

"기억은 힘이 세다, 시간이 지나가면 잊힐 일들을 하나씩 끄집어내는 일에 동참한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라고 자신의 작업을 설명하고, "아이러니하게 내 몸이 가장 힘든 시기에 제주의 가장 힘든 시기를 기록하는 일을 해왔다"라고 고현주 작가는 말했다. 2022년 11월 제주 큰바다영 갤러리에서 생애 마지막 사진전시회를 하고 12월 4일 세상을 떠났다.

 

또 다른 한 분은 섬돌향린교회 임보라 목사님이다. 이분의 부재로 힘들고 아프고 너무 막막해서 이분에 대한 글을 쓰는 것조차 조심스러웠다. 다만 이분과 함께 다녔던 현장에 대한 기억으로 이분의 부재를 대신해보고자 애써 본다. 오키나와 평화기행과 제주 강정평화운동에서 경험한 예배와 활동을 같이 했던 추억들을 되새겨본다.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지 3년 후인 2014년 3월에는 임보라 목사님과 함께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현장-낮 시간 동안만 출입을 허용하고 거주하지 못하게 하는 방사능 오염 현장-을 방문해서 사람이 살지 않는 무섭고 두려운 수십 킬로로 이어진 공간을 목도하는 경험도 하였다. 인근 지역 유치원도 방문했는데, 유치원 원아들이 오염된 놀이터의 모래를 교토에서 보내온 모래로 전부 교체했지만, 방사능 노출 위험 때문에 하루 한 시간씩만 야외 놀이터로 나가게 하고 실내에서만 지내게 하는 안타까운 실정도 알게 되었다. 동일본 대지진 현장에 거주민들의 희생과 피폐해진 삶의 모습을 보면서 안타까워하시던 목사님 표정도 생각난다. 임보라 목사님께서 일본 오사카 교회 예배에서 유창한 일본어로 성찬예배를 주관하시던 모습이 생생하다. 한편 퀴어 퍼레이드에서는 무지개 색 옷과 멋진 가발을 쓰고 즐겁게 웃으면 같이 행진하면서 성찬 예배도 주관하시던 모습도 떠오른다.

 

이러한 예기치 못한 지인들의 죽음을 대면할 때 우리가 할 일은 무엇일까? 애도부터 잘해야지, 슬픔과 당황함과 막막함을 같이 느끼는 사람들과 나누어야지, 그리고 그 응어리가 풀어지지 않겠지만 가지고 살아가야지, 그리고 가신 분과 나누었던 추억들을 가슴에 품고 살아가야지. 이렇게 스스로 위안을 해본다.

고경심.png